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물 대체식품의 출현과 축산업계의 대응 방안

김 재 민 편집장 / 농장과 식탁

축산물 대체식품은 식품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분야 중 하나이다. 해외에서는 이런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 투자금이 몰리고, 국내에서도 대체식품에 연구비가 몰리는 상황이다. 대체식품이 주목받는 이유는 축산물 소비를 줄이면 기후 위기를 극복해 낼 수 있다는 잘못된 정보에 기인한 것들이다.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양이 교통 분야에서 배출되는 양보다 많다거나, 축산업은 온실가스의 절반 이상을 배출한다는 주장이 통념으로 자리 잡도록 하는 채식주의자들의 조직적 캠페인이 효과를 거두었고, 실제 축산업은 최근 기후 위기를 일으키는 주범이라는 프레임에 갇히고 말았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 축산물을 그래도 먹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아서 모조품인 대체식품 개발에 많은 투자가 몰리고 있다.

 

1. 축산물 대체식품의 출현 배경

 

(1) 세계 인구의 증가

지난해 10월 우리 정부도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 계획에도 식생활 개선이라는 이름으로 축산물 대체식품 활성화와 이를 위한 제도개선, 투융자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축산대체 식품은 기후 위기 극복이 아니라 늘어나는 인구로 축산물을 비롯한 식량 공급이 원활치 못한 상황 때문에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표 1) 세계 장래 추계 인구 (단위 : 천명)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탈(장래인구추계 2019.3 기준)

 

(표 1)의 세계 장래 추계 인구를 살펴보면 2000년 61억명이었던 세계 인구가 2020년 78억명으로 17억명이나 증가했지만 (표 2)의 세계 농지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2000년 대비 2018년 농지 비율은 37.3%에서 36.9%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인류의 식량을 생산하는 핵심 요소인 농지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계 인구는 2030년까지 85억명으로 늘어나고 2050년에는 97억명으로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한정된 농지에서 식량인 곡물, 축산물, 채소류의 생산이 과연 전체 인류를 먹여 살릴 만큼 생산할 수 있느냐로 모아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전통적인 생산방식으로는 축산물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표 2) 세계 농지면적 비율 (단위 : %)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 환경 부담과 축산업 진출 어려움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사육하는 많은 양의 가축으로 인해 야기되는 지구 환경 문제는 전통 축산에 대한 우려와 개선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배양육은 전통적인 가축사육 방식과 달리 실험실에서 조직 배양을 통해 동물 근육 세포가 생산되는 새로운 기술로 에너지 소비는 조직 배양 공정 유지에 필요한 전력의 대량 사용으로 인해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산기간이 전통 축산과 비교해 단기간이다. 배양육은 전통적인 축산방식으로 고기를 생산하는 경우보다 토지 사용량은 99%, 가스 배출량은 96%, 에너지 소비량은 45%를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장점이 있어서 미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환경과 관련한 여러 이유가 아니더라도 국내 축산업은 분뇨 냄새 등으로 인해 사실상 신규 축사 건설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축산물의 수요는 계속 늘고 있어 상당량을 수입 축산물이 차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생활방식 변화 등과 맞물려 향후 국내 축산물 시장은 일정량은 배양육, 식물 단백질, 곤충 등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축산물 자급률 변화 (단위 : %)

자료 : 농촌경제연구원(농업 전망대회 발표 자료), 낙농진흥회(낙농 통계 연보)

주) 아직은 국내 축산물 시장은 국내산 축산물과 수입 축산물 중심으로 수급이 맞춰지고 있으나, 향후 대체식품이 일정 비율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축산물과 축산물 대체식품 비교

 

현재 배양육의 경우는 생산 비용이 전통적인 축산물 생산방식보다 높아 많은 제약이 있으나, 인구증가 속에 축산물의 공급 확대가 어려워 축산물 가격이 과도하게 높아질 때 새로운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대체식품이 맛과 안전성이 기존 축산물에 어느 정도 근접할 수 있느냐도 중요한데, 맛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사실상 성장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표 4) 일반 육류와 축산물 대체식품의 특징

자료 : 조철훈 외 5명(2021) 축산업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진실

 

(표 4)는 일반 축산물과 현재 시장에서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출시된 대체식품을 카테고리별로 비교한 것이다. 현재 높은 비용과 검증되지 않은 안정성 때문에 배양육의 활성화는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고, 식물기반 대체식품은 맛을 보장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고, 곤충은 벌레에 대한 거부감이 소비 활성화를 제약하는 원인이다. 이들 품목은 인구증가와 축산물 가격 상승이라는 외부환경과 기술의 혁신이라는 내부 노력으로 조금씩 시장을 확장해 가겠지만, 대체식품 시장이 전통 축산물을 완전히 대체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3. 축산업계의 대응 방안

 

축산물 대체식품이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활성화된다고 할지라도 전통 축산물은 이들 군에서 가장 고급제품으로 윗자리를 차지할 것이고, 현재 축산분야에 제기되는 환경문제, 동물복지 문제 등을 개선하는 데 어느 정도 노력한다면 복제품이 원본을 이기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단언한다. 다만 문제는 이들 제품의 마케팅 포인트이다. 축산 대체식품을 표방하는 상품마다 전통 축산물이 기후 위기를 일으키는 나쁜 상품, 대체식품은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착한상품으로 차별화한다는 데 있다.

 

축산업계는 대체 축산물 시장의 확대 경계에 앞서 이들의 마케팅으로 인해 축산물 가치가 훼손되는 문제를 어떻게 넘어설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방안으로는 소비자들이 제기하는 환경 및 동물복지 문제를 완화하는 노력과 축산업이 가지고 있는 공익적 가치 홍보, 기후 위기와 축산업의 관계를 명확히 확립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월간 한돈미디어 2022년 3월호                               【원고는 ☞ 0183546969@daum.net으로 문의바랍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