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미래연구소(소장 이도헌)에서 발행한 한돈리포트 2025년 2월호(VOL 14)를 소개합니다. 한돈리포트 2월호는 아래의 첨부파일에 있는 한돈리포트 2025년 2월호(VOL 14) pdf를 클릭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한돈리포트 2월호 내용은 ▲경영 : 2023년 양돈 경영지표, ▲조사연구 : 채식주의 자유형 분석 및 윤리적 소비전략 수립 필요성, ▲해외조사 : 덴마크 해외사례 조사, ▲판결사례 : 국세청의 과세처분(60kg 이상 비육돈=성돈) 위법 판결, ▲전망 : 한돈팜스 수급 전망 보고서, ▲해외동향 : 글로벌 돼지고기 시장 등을 담고 있습니다.
한돈미래연구소에서는 2024년 12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2025년 2월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4년 12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2025년 2월 전망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문서 pdf를 클릭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전북대학교(김원일 교수팀), 중앙대학교(김준모 교수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른 호흡기 감염 경로 차이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국내 연구진은 4주령 돼지에 병원성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를 각기 다른 강도(저, 중, 고)로 접종하고, 임상 증상과 기관지 내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분석해 면역반응을 조사했다.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는 핵심 면역세포인 폐포 대식세포를 감염시키는데, 바이러스의 병원성 차이에 따라 감염된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면역 관련 대사물질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고병원성 바이러스는 빠른 증식으로 간질성 폐렴을 유발하고 면역세포를 감소시켰으나, 중·저 병원성 바이러스로 인한 폐 손상은 상대적으로 완만했다. 또한 감염된 세포가 비감염 대식세포의 감염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다양한 병원성을 동시에 분석한 것으로, 바이러스 감염 억제 또는 증상 완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저명한 과학학
한돈미래연구소에서는 2024년 11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2025년 1월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4년 11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2025년 1월 전망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문서 pdf를 클릭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다.
한돈미래연구소(소장 김성훈)에서 발행한 한돈리포트 12월호(VOL 13)를 소개합니다. 한돈리포트 12월호는 아래의 첨부파일에 있는 한돈리포트 12월호(VOL 13)를 클릭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한돈리포트 12월호 내용은 ▲조사연구 1 : 양돈장 전기요금 현황 조사 및 대책, ▲조사연구 2 : 소비시장 변화에 따른 돈육 경쟁력 분석 및 발전 전략, ▲전망 : 2024년 12월 한돈팜스 수급전망 보고서, ▲한돈팜스 : 2024년 한돈팜스 전산성적 및 2025년 수급전망, ▲해외동향 : 글로벌 돼지고기 시장 등을 담고 있습니다.
한돈미래연구소(소장 김성훈)에서는 2024년 10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12월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4년 10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2024년 12월 전망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문서 pdf를 클릭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