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장의 방역관리
(1) 타 농장 방문 후 임직원들 계류일 준수(3일)
(2) 농장 진입 시 임직원간 약속
•농장 진입 시 샤워 후 농장 진입(일방통행)(고온 샤워 및 탈의실 온도 유지/탈의실 온도 저하로 미 샤워 후 농장 진입)
•농장 진입 절차
• 개인 물품 및 부대물품 꼭 소독 후 농장 진입
• 차량 소독기 운용 꼼꼼한 관리 필요
(3) 공사 인원 및 외부 인원 농장 방문 시 계류일 준수 및 꼼꼼한 소독 필요
2. 시설관리 및 환기관리
(1) 환기 관리는 우선 농장의 단열이 되어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배기휀 규격 : 같은 규격의 배기휀이라도 풍량과 풍속이 다르다.
(3) 농장 여건에 따라 4P 또는 6P를 병행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 4P : 모터 용량 및 모터 소리가 크다. CFM/CFH 배기량의 편차가 넓다.
(불안정한 배기 방식 사용)
▶ 6P : 모터 용량 및 모터 소리가 작다. CFM/CFH 배기량의 편차가 좁다.
(좀 더 안정적인 배기 방식 사용)
(4) 배기휀 설치 시 유의점 : 휀 사이즈 분리를 권장한다.
예)500∅ 3개보다 400∅, 500∅, 650∅(최대(여름)/최소(겨울) 배기량 운영 시 용이함.
(5) 양/음압 사용 및 기타 휀 사용 시 수동 콘트롤 사용 권장
3. 화재 예방
(1) 아크 차단기 20A. 30A 설치 및 분전함/배전함 스티커형 소화기 및 로프형 소화기 설치
•아크 차단기는 2A 설정 후 테스트 완료 후 설치(몇 개 농장 누전 구간 발견)
(2) 소화기 비치
•보통 일정 구간 선정 후 1대 비치 농장 있으나, 화재 발생 시 1대로 진압이 어려운 상황(농장에 우레탄 도포 등)이므로 여러 대 비치 권장
(3) 콘센트 플러그에 의한 화재 발생
•일정 기간 사용 후 콘센트 교체 시 방수·방진으로 사용 권장
•전선의 굵기 및 적정 차단기 선정(전선 사진 등 참고)
(4) 수축 튜브 사용 권장
•콘센트 플러그 제거 후 직렬 연결(누전 예방)
(5) 보온등 사용 시 유의 사항
•보온 등 사용 시 결로 발생이 심하여 전기 선로 중 강약 조절기 이음부 노후화로 수직 연결 시 화재 발생 가능
(6) 배전함
•상하식선로 사용 권장(결로 발생 시 차단기로 결로 유입)
•특히 겨울철 외부 동물 유입으로 인하여 배전함 외부 동물 차단 설비 필요
(7) 열선 사용
•참고 사진처럼 겹침 없이 일정한 방향과 간격으로 설치 필요
•겨울철 돼지꼬리 히터 봉을 잘못 사용하여 화재 발생
(8) 영선 업무
•릴 선 사용 시 주의사항 : 아무리 가까운 곳에서 사용하더라도 모두 풀고 사용하고 릴 선을 풀지 않고 사용 시 부하가 걸리게 되어 화재를 유발하게 된다.
•콤포스트 보수공사 용접 시 스파크에 의한 화재 발생
4. 부가가치세 영세율 및 면세 적용
(1) 영세율이 적용되는 축산업용 기자재
(2) 부가세 환급 품목
월간 한돈미디어 2025년 10월호 83~88p 【원고는 ☞ darby278@darby.co.kr로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