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7 (금)

  • 구름많음동두천 16.2℃
  • 맑음강릉 20.6℃
  • 구름많음서울 16.8℃
  • 구름많음대전 18.4℃
  • 구름많음대구 16.9℃
  • 구름많음울산 17.3℃
  • 구름조금광주 19.1℃
  • 구름많음부산 19.6℃
  • 구름많음고창 ℃
  • 구름조금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6.7℃
  • 구름많음보은 16.2℃
  • 구름많음금산 17.6℃
  • 구름많음강진군 18.4℃
  • 흐림경주시 14.9℃
  • 구름많음거제 20.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최근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증례의 육안 병리학적 고찰

김 종 호 수의연구사 /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진단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은 2019년 파주 양돈장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로 계속 남하하며 양돈농가를 위협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ASFV)의 특성, 병리 기전 이해를 통한 병변과 증상 파악 및 최근 발생한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증례의 육안 병변을 소개하고자 한다.

 

1. ASFV의 특징 및 병리기전

 

ASFV는 Asfarviridae에 속하는 유일한 바이러스이며, 크기가 크고 유전체의 양도 많은 DNA 바이러스이다. 돼지 주요 바이러스인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PRRSV), 구제역바이러스(FMDV)와 비교했을 때 ASFV는 바이러스 입자와 유전자 길이가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불활화되는 정도를 비교했을 때도 저항성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표 1). 또한 환경에서의 저항성도 강하여 돼지 분변에서 수 주간, 냉동육에서 수 주에서 수 개월간 생존하는 특징을 보인다.

 

(표 1) 돼지 주요 바이러스(PRRSV, FMDV)와 비교한 ASFV의 특징

 

ASFV가 구강으로 들어오면 첫 바이러스 증식 부위는 편도와 아래턱 림프절의 단핵구이다. 여기서 1차 바이러스 증식이 일어난 후 혈관과 림프계를 따라 바이러스가 전신 림프절, 골수, 비장, 폐, 간, 신장 등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신 장기로 이동한 바이러스는 혈관내피세포, 간세포, 신장세뇨관상피세포, 호중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들에서 2차 증식을 하여 전신적인 병변을 일으킨다. 특히 ASF의 병변 중 출혈은 바이러스가 증식하고 있는 혈관내피세포를 대식세포가 탐식하게 되어 혈관 손상이 일어나 나타나는 것이다.

 

2. ASF의 증상과 병변

 

ASF의 육안 병변을 보이는 주된 장기는 비장, 림프절(특히 위간 및 신장 림프절), 신장, 심장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부검 및 시료 채취 시에 이 장기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비장과 림프절의 경우 암적색의 경색과 출혈 및 종대가 나타날 수 있고, 신장(피질 및 수질)과 심장(심외막 및 심내막)에도 출혈 반점이 관찰된다. 만성형의 경우 이러한 병변들이 나타나지 않고 무릎 관절 종창, 피부 발적, 섬유소성 심외막염 및 흉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국내 ASF 발생 증례

 

올해 강원도에서 발생한 ASF의 경우 특이 임상증상 없는 모돈 급사 혹은 예찰이나 출하 전 검사에서 의심되어 확인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021년 8월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ASF의 경우 모돈 3두 급사가 발생하였고 부검했을 때 3마리 모두 비장 종대가 확인되었으며, 1개체는 암적색으로 경색되고 취약한 비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사진 1A). 또한 장간막 림프절의 발적 및 간의 검은색 출혈 반점과 폐 퇴축부전 및 전반적인 심한 발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슷한 시기 강원도 인제에서 위축을 보인 모돈이 급사하여 부검을 한 결과 비장의 암적색 발적과 종대 및 폐의 심한 발적은 같게 나타났으나, 추가로 귀 끝의 청색증과 신장의 점상 출혈 반점이 관찰되었다 (사진 2).

 

마지막으로 최근 2021년 10월 인제에서 발생한 폐사 모돈 ASF 발생 증례를 살펴보면 앞의 사례들과 유사하게 비장의 암적색 발적과 종대, 신장의 피질과 수질 부위의 출혈 반점 및 심내막에 검은 출혈 반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사진 3). 앞에서 살펴본 세 증례를 종합하면, ASFV의 전신감염에 의한 혈관 손상으로 전신 장기에 출혈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고찰 및 결론

 

최근에 국내에서 발생한 ASF 증례는 광범위한 장기의 출혈성 병변을 보여 급성 혹은 아급성의 병리학적 병변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질병과 유사한 병변을 일으켜 ASF와 감별해야 할 질병으로는 살모넬라 전신감염, 돼지열병, 돼지단독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병성감정을 통한 정확한 원인체 확인이 필수적이다.

 

이번 글이 ASF에 대한 질병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끝으로 부검 사진을 제공해주신 강원도 동물위생시험소 직원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전해드린다.

 

■ 참고문헌

of Swine. 11th edition. p.443-450.

2. Sun, E. et al., 2021. Emergence and prevalence of naturally occurring lower virulent African swine fever viruses in domestic pigs in China in 2020.

 

월간 한돈미디어 2022년 1월호                                     【원고는 ☞ whdgh2339@korea.kr로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