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5년 상반기 한돈산업 동향 (1) 사육 동향 2025년 3월 돼지 전체 사육 마릿수는 전년(1,176만마리) 대비 1.0% 감소한 1,164만4천마리였다. 이 중에서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96만9천마리) 대비 1.5% 감소한 95만4천마리였고, 자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399만7천마리) 대비 1.3% 증가한 405만마리였다. 육성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335만4천마리) 대비 1.4% 감소한 330만7천마리였고, 비육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331만8천마리) 대비 3.4% 감소한 320만7천마리였다. 모돈 사육 마릿수는 2025년에도 지속되고 있는데 월평균 전년 대비 1% 내외 수준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자돈 사육 마릿수는 월평균 전년 대비 1% 내외 수준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어, 모돈 생산성이 과거와 비교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도축 동향 2025년 1~5월 누적 도축 마릿수는 1~5월 누적 도축 마릿수는 전년(827만8천마리) 대비 3.3% 감소한 800만4천마리였다. 3~4개월 전 육성돈 사육 마릿수(이력제)를 고려할 때 상반기에 월별로 도축 가능한 마릿수는 전년과 비슷하였지만, 연휴 등으로 작업 일수가 감소하면
양돈장 성적이라 하면, 번식성적(교배, 분만, 이유 등)과 비육성적(육성률, 출하일령, 일당증체량, 사료요구율, 지육 품질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한별팜텍에서 중요하게 판단하는 시설관리의 포인트를 살펴보고자 한다. 1. 번식성적 (1) 스톨 개수 : 번식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충분한 교배사의 스톨 개수가 필요하다. 스톨 개수가 부족하면 모돈을 교배 후에 한 달 내에 자꾸 옮기게 되는데, 이것이 문제가 되어 재발률, 공태율이 높아질 수 있다. (2) 웅돈 통로 : 번식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웅돈을 활용해서 이유모돈과 후보돈 발정을 자극하고, 발정이 온 것을 확인해서 표시하는 관리가 쉬워야 한다. (3) 사료관리 : 사료량 관리가 쉬워야 한다. 오래된 사료계량통의 경우 눌어붙어 사료량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계량통은 수리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해야 사료 급여량 관리가 가능하다. 사료계량통도 자금 여유가 있으면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환기시설 : 비교적 교배사 모돈은 샛바람 등의 영향이 적으며, 충분한 배기와 입기가 섞이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5) 분만틀 디자인, 크기 : 분만틀의 크기와 복당 이유두수와 관련이 있다. 과거 10
1. 세계 양돈산업 동향 세계 양돈산업의 시장구조가 바뀌고 있다. 첫째 요인은 세계 돼지 사육두수(1억1천만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에서 2018년 발생했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쇼크가 3~4년 동안 세계 돼지고기 시장과 양돈산업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요인은 유럽의 소비자 동향이 양돈산업에 큰 영향을 주어 양돈을 포함한 축산업 전반을 위축시키고 있다. 영국에서 시작된 동물복지 시스템의 도입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축종별로 강한 규제가 불가피하게 되었고, 동시에 환경오염 규제가 점차 엄격해지면서 유럽연합 각국 정부는 강제로 축산업을 중단시키는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 셋째 요인은 질병, 특히 ASF 확산으로 양돈 생산자들의 수익성이 악화하여 위축되고 있다. 넷째 요인은 돼지고기 시장이 가금육에 점유율을 잠식당하고 있다. 세계 육류 생산은 1970년에서 2020년 사이 지난 50년간 1억톤에서 3억4천만톤으로 역동적으로 3.4배 성장하였다. 그러나 돼지고기 생산도 동기간 3,580만톤에서 1억800만톤으로 3배 성장했으나 가금육은 1,500만톤에서 1억3,700만톤으로 9배나 늘어나 돼지고기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1) 중
1. 머리말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최근 환경규제 강화 및 제반 비용 상승으로 가축분뇨 처리비용 급등, 한돈농가를 중심으로 생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악취 등 축산환경 악화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민원 증가로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해서 증가(축산악취 민원 : (’14) 2,838건→ (’16) 6,398 → (’18) 6,718 → (’20)12,631 → (’21) 13,616) 하는 것이 한돈산업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한돈농가 사이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로 민원문제를 꼽는 가운데 냄새저감을 위해 농가 자체적인 노력을 하고 있지만, 쉽사리 해결되지 않는 모양새다. 이에 문제 해결에 어려운 농가의 힘이 되고자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축산환경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컨설팅 분야는 가축분뇨의 적정 퇴비화, 액비화, 정화처리, 액비재순환 및 축산냄새 저감방법 등이며, 이론교육과 현장 방문을 통한 양돈농가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축산환경 컨설팅사업은 돼지분뇨 처리, 냄새저감사업 등과 연계해 환경·냄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를 돕기 위해 상시 컨설팅 및 축산냄새 저감사업 지원 등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축산
한돈산업은 국내 축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국민 식생활과 지역경제에 직결되는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환경 규제, 생산비 증가, 소비패턴 변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등과 같은 악성 질병 발생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중에서도 국내 양돈의 생산성적은 양돈 선진국보다 많이 낮은 생산성으로 생산원가가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호에서는 한돈산업의 경쟁력 약화 원인을 진단하고, 지속 가능한 산업 기반 마련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산업 현황 및 구조 분석 (1) 국제 곡물 및 유가 국제 곡물가격 상승과 유가 상승으로 사료비, 에너지비용은 점점 상승으로 생산비가 증가하고 있어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산업이다. 최근 10년간의 옥수수, 소맥, 대두 등 곡물 기후 변화, 지정학적 갈등, 수요 및 공급의 변화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동하였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공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급등하였으며, 반면에 2023~2024년은 공급 회복과 수요 감소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였다. 2025년은 기후 변화와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가격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국제 유
1. 시작하며 ‘스트레스(stress)’는 신체나 정신적인 자극에 의한 긴장을 말한다. 이런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을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하는데, ‘스트레스’는 이런 요인에 맞서거나 벗어나기 위해 생리적인 반응(fight or flight response, 싸우거나 도주하는 반응)이다. 돼지는 야생에서도 기후적응이나 포식자에 의한 스트레스 요인이 있겠지만, 가축화가 되면서 스트레스 요인은 더 많아지고 사양이나 시설의 현대화로 인해 요인의 다양화와 가중되는 양이 훨씬 증가하였다. 크게 몇 가지만 언급해보면 과밀사육, 인위적인 교배와 이유, 돈사 내 이동과 수송, 한정된 공간에서 환기 불량과 환경온도에 대한 스트레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관리자의 눈에 쉽게 관찰되는 것이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로 인한 현상이며 번식성적 저하 및 비육돈 증체 감소로 인한 밀사와 출하일령 증가이다. 2.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가 돼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양돈장들은 대부분 에어컨이나 쿨링패드 등 냉방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현대화시설이 갖추어진 양돈장은 단열까지 잘되어 여름을 보내기가 예전보다 훨씬 수월하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여름도 길어지고, 더욱 더워지고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