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는 전 세계 양돈산업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유행성 폐렴(EP) 및 돼지 호흡기 복합 증후군(PRDC)의 주요 원인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M. hyo에 감염된 돼지는 마른기침(가래가 나오지 않는 기침)을 주 증상으로 나타내며, 돼지 기도에 존재하는 섬모(필터 역할 수행)의 손상과 면역 시스템 교란으로 인해 면역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M. hyo는 다른 바이러스 및 세균의 감염을 용이하게 하여 전반적인 피해 규모를 확대한다.
M. hyo에 의해 발생하는 유행성 폐렴(EP)은 대부분 만성 형태로 진행되며 높은 이환율과 낮은 폐사율, 그리고 성과 지표의 저하를 특징으로 한다. 육성-비육돈에서 주로 발생하고 폐사율이 높지 않아 간과되기 쉬우나 일당증체량(ADG), 사료 요구율(FCR) 및 출하일령에 영향을 미쳐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야기한다. M. hyo는 돼지 호흡기 복합 증후군(PRDC)에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혼합 감염을 유발하여 높은 폐사율과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이외에도 M. hyo 음성돈군이 양성 전환되면서 큰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중요하다.
질병을 컨트롤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질병에 대한 이해와 현장에 맞는 컨트롤 전략이다. M. hyo 컨트롤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실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빠르게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글로 전달하는 내용이 M. hyo 컨트롤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장기적으로는 양돈장의 생산 성적 및 수익 개선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2.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 컨트롤의 필요성 및 중요성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에 감염된 돼지는 호흡 기도 내 섬모의 손상과 면역 교란으로 인해 면역 수준이 저하된다. M. hyo 감염에 의한 섬모 손상, 과도한 점액 분비 유도, 면역 세포의 기능 저하는 2차 감염의 위험성을 높이며, 질병 컨트롤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특히 섬모의 손상은 최전방 부대의 약화와 유사하며, 물리적 방어체계의 붕괴로 인해 바이러스 및 세균에 대한 제거 능력이 많이 감소한다.
M. hyo는 단독 감염보다는 혼합 감염에서 큰 피해를 야기하며, 돼지 호흡기 복합 증후군(PRDC)과 같은 혼합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 M. hyo는 섬모의 기능을 저하해 외부 바이러스 및 세균의 침입을 쉽게 만들어주고, 면역 시스템을 교란하여 호흡기 질병의 지속과 경제적 손실 누적을 일으킨다.
특히 M. hyo는 국내에서 지속해서 이슈가 되고 있는 PRRS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컨트롤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M. hyo 컨트롤을 통해 PRRS 감염 수준을 완화해 줄 수 있음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필드 상황에서도 적용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실제 현장에서 M. hyo와 PRRS를 동시에 컨트롤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임상증상 개선과 경제적인 손실 감소가 확인되고 있다.
3.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의 특성 및 컨트롤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를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사양관리뿐 아니라 백신 및 항생제의 활용이 필요하다. M. hyo 컨트롤 전략에 백신과 항생제를 활용하는 것은 M. hyo가 지닌 고유의 특성 때문이며, 이와 관련된 사항들이 컨트롤 전략의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친다. M. hyo 컨트롤의 목적은 박멸보다는 안정화를 통한 손실 최소화에 있으며, 감염 시점을 최대한 뒤로 미루는 것이 핵심이다.
M. hyo는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 전파되는 질병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수직감염(모돈을 통한 포유자돈 감염)을 차단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자돈 백신 시점에 이미 감염된 개체들이 존재할 수 있다. 실제 후보돈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M. hyo에 감염된 후 세균 배출이 끝날 때까지 약 240일 소요되며, 대부분의 농장(후보돈 입식 일렬이 150~180일령인 경우)에서 분만사 내 수직감염을 막을 수 없게 된다.
M. hyo의 전파 속도 및 감염 수준은 이유 시 양성률, 면역 상태, 관리 수준, 균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M. hyo는 상대적으로 서서히 전파되며 지연된 형태의 면역반응을 보여준다. 감염 후 항체 양성 전환이 6주까지 지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감염 시점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M. hyo 컨트롤 전략은 크게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번식돈군 백신 접종을 통해 출생 시 수직감염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자돈 백신 접종을 통해 이유 후 수평감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주요 구간에 항생제를 적용하여 백신 접종만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며 상황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4. 마무리하며
M. hyo는 상대적으로 과소 평가되고 있는 돼지 호흡기 질병이며, 무관심 속에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누적시키고 있다. M. hyo 컨트롤은 호흡기 질병 관리의 시작이며, 면역의 최전선을 사수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실천하지 않는 컨트롤 전략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M. hyo 컨트롤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느꼈다면 지금 바로 현장에서 실천해보자.
■ 참고자료
1. D. Maes, J. Segales et al. Control of Mycoplasma hyopneumoniae infections in pigs
2. Maria Pieters. Mycoplasma hyopneumoniae management in gilts
3. Alvaro R. Ruiz et al. Effect of Mycoplasma hyopneumoniae sow vaccination on piglet colonization at weaning
4. Alyssa M. Betlach et al. Effect of multiple vaccinations on transmission and degree of Mycoplasma hyopneumoniae infection in gilts
5. Meggan Bandrick. Mycoplasma hyopneumoniae: Dynamics of immunity and Physiology
6. Cara Dykhuis Haden et al. Assessing production parameters and economic impact of swine influenza PRRS and Mycoplasma hyopneumoniae on finishing pigs in a large production system
7. Béatrice Blanchard et al.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respiratroy tract of SPF piglets inoculated with Mycoplasma hyopneuoniae
8. Chae C. et al.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Interaction of vaccination and porcine circovirus type 2, porcine reprodcutc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and Mycoplasma hyopneumoniae
월간 한돈미디어 2025년 9월호 78~82p 【원고는 ☞ jongyeon.jeong@boehringer-ingelheim.com으로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