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농장에 설치된 신발 소독조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가축 질병 병원체 등 오염균이 축사로 유입되지 않도록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신발 소독조는 축사로 진입하는 모든 출입구에 설치되어 오염균을 막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는 축사로 들어가기 전 내부 장화로 갈아 신고 신발 소독조에서 장화를 소독해야 한다.
작업자는 신발 소독조에 장화를 담그고 제자리에서 걸으면서 장화가 소독액에 충분히 잠기게 해 오염균을 제거한다.
장화를 소독하기 전과 소독하고 난 후의 대장균 검출률을 분석한 결과, 오염된 장화를 한번 담갔다 빼면 7.4%의 대장균이 검출됐다.
반면 장화를 담그고 제자리걸음을 5회 실시한 후 뺐을 때는 대장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장화가 분변 등 유기물로 오염된 경우*에는 미리 물로 깨끗이 씻어 낸 다음 신발 소독조에 담가야 한다.
* 대장균 오염도가 50x106/㎖ 이상인 경우
신발 소독조의 소독 효과를 높이려면, 소독액의 희석배율과 교체 주기 등을 알맞게 관리해야 한다.
소독제를 희석할 때는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적정 배율을 잘 지켜야 한다.
4℃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소독 효과가 떨어지므로 기온이 낮아지는 겨울철에는 희석배율을 제품 설명서에 기재된 고농도 기준으로 맞춘다.
신발 소독조 옆면에 희석배율에 따른 물의 양을 미리 표시해 두면 편리하다.
소독액은 2∼3일 간격으로 바꾸는데, 희석된 소독액은 시간이 지나면 점차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미리 만들어 두지 말고 교체할 때마다 필요한 만큼만 희석해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