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다비육종(대표이사 윤성규)은 지난 6월 25일 ‘다비퀸33 리더스클럽 연례회의’를 개최하고 ▲국내 육종 개량의 최신 현황과 향후 방향, ▲프랑스 양돈장 현황과 국내 적용 방안 등을 주제로 회원 농가들과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의는 인사말, 교육 세션, 질의응답, 현장 적용 사례 공유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번식성적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전략들이 공유됐다.
윤성규 대표이사는 인사말을 통해 “1년 만에 다시 리더스클럽 회원 여러분을 한자리에서 만나 뵙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각지 농가에서 지속해서 성과를 내고 계신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종돈을 공급하는 입장에서 큰 보람과 책임감을 느낀다”며 “오늘 이 자리가 여러분의 번식성적 향상과 농장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일주 상무는 ‘육종 개량 현황 및 방향’ 발표를 통해 “다비육종은 최근 지제 스코어링을 강화하였으며, 초산돈의 경우 경산돈과는 달리 임신 초기 사료량을 증량하지 않고, 1일 급여량을 초기 2.6kg, 중기 2.6kg, 말기 3.2kg으로 설정해 과체중을 방지하고 지제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새로운 유전자원의 효과로 인해 다비육종 전체농장의 번식성적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고능력 돈군 위주의 동결정액 활용과 생축 도입을 통해 지속해서 개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양승혁 부원장은 프랑스 양돈농장 견학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적용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프랑스 농장들은 방역의 기본부터 철저하게 다르다”며 “차량과 사람, 돈군의 이동 동선을 분리하고, 후보돈은 반드시 2주간 격리 및 질병 음성 확인 후 도입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질병 차단에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번식성적 향상을 위해서는 모돈의 체형 관리가 핵심”이라며 “후보돈의 경우 등지방 두께를 13~14mm, 체중은 150kg 내외로 유지해 교배에 적합한 상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분만사 관리와 관련해서는 “모돈 앞에 헝겊이나 로프를 설치해 네스팅 활동을 유도함으로써 모돈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초유 생산량을 늘리며, 분만 시간 단축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동이농장의 현장 적용 사례도 공유되었다. 프랑스 농장 견학 이후 후보돈의 교배 기준을 등지방 두께 15~16mm에서 13~14mm로 조정하고, 임신돈 사료에 발효대두박과 비트펄프를 첨가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생시 체중이 증가하고 체미돈 발생률이 감소했으며, 초산돈 산자수 또한 16.1두에서 16.8두로 상승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연례회의는 단순한 정보 교류를 넘어, 현장 적용 사례와 데이터 기반의 개량 전략이 공유된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자리였다. 다비육종은 “앞으로도 리더스클럽 회원 농가들과 함께 지속적인 실험과 개선을 통해 PSY 33두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차근차근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