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국제곡물 2024년 5월호 발표에서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흑해지역 원활한 밀 공급 지속 및 중국의 곡물 수입 수요 둔화 등으로 전 분기 대비 2.0% 하락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료용 곡물은 전 분기 대비 0.9% 하락, 전년 동기 대비 15.8% 하락 전망이라고 밝혔다.
■ 선물가격지수 전망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2.0% 하락 전망이다(전년 동기 대비 19.6% 하락한 119.8).
- 전 분기 대비 : 흑해지역의 원활한 밀 공급 및 중국의 곡물 수입 수요 둔화 등으로 완만한 가격 하락 지속 전망이다. 하지만 감산 우려와 북반구 주요 곡물 파종기의 기상 불확실성 확대로 가격 하락폭이 제한적이다.
- 전년 동기 대비 : 흑해곡물협정 연장(5월 17일)과 미국의 원활한 곡물 생육에 따른 공급량 증가 기대감으로 지수 하락했던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하락 전망이다.
■ 사료원료 가격지수 동향
4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45.3) 대비 2.2% 상승, 전년 동월(175.1) 대비 15.2% 하락한 148.5로 나타났다.
- 전월 대비 : 옥수수와 대두박 수입단가 상승과 대미환율 2.4% 상승 영향
- 전년 동월 대비 : 대미환율 3.2% 상승하였으나 옥수수와 밀, 대두박과 기타 박류 등 수입단가 하락 영향
■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동향
4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동향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밀은 273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0.6% 하락, 전년 대비 23.1% 하락, ▲옥수수는 258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0.4% 상승, 전년 대비 22.8% 하락, ▲대두박은 535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1.0% 상승, 전년 대비 4.4% 하락했다.

■ 2024년 2~3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 전망
2024년 2~3분기 사료용 곡물지수는 139.8로 전 분기 대비 0.9% 하락, 전년 동기 대비 15.8% 하락 전망이다.
- 전 분기 대비 : 곡물가격 하락 추이를 보인 2023년 4분기 구입분이 주로 도입되어 수입단가는 하락 전망이지만 최근 대미환율 상승으로 지수 하락폭은 제한적이다.
- 전년 동기 대비 : 곡물가격 하락 시기 구입분 도입으로 수입단가 하락한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하락 전망
■ 국제곡물 2024년 5월호 요약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2024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