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축산업 생산액 추정치(한국농촌경제연구원)는 25조5천억원으로 농림업 생산액(60조1천억원)의 42.85%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3년 국민 1인당 3대 육류 소비량 추정치(한국농촌경제연구원)는 60.6㎏으로 전년(59.8㎏) 대비 1.3% 증가하였다. 이 중 절반이 돼지고기(30.1㎏)로 가장 많았고 닭고기(15.7㎏), 소고기(14.8㎏)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의 육류 소비량 증가 등에 힘입어 축산업은 지속해서 성장하고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축산물의 개방 가속화, 축산업 노동력의 고령화 및 신규 축산농의 진입이 어려운 실정으로, 축산물 생산비의 40~60%를 차지하는 사료비의 가격 상승은 농가 경영에 여전히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가축질병, 냄새 발생 등 사회적 비용에 대한 책임은 높아지고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 등 축산업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으로 전환을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축산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해 대한민국 국회는 농업과 첨단 정보통신기술 등의 융합을 통하여 농업의 자동화·정밀화·무인화 등을 촉진함으로써 농업인의 소득증대와 농업·농촌의 성장 및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2023. 7. 25.)하여 2024.7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해당 법률에는 스마트농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스마트농업 지원센터 운영, 전문인력 양성,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 신설, 관련 기술 개발, 기자재 및 스마트농업 데이터 표준화,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운영, 스마트농업의 보급 및 확산, 국제협력 추진 및 수출 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산분야 스마트팜 활성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축산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축종별 스마트축산 우수모델 개발 및 보급 확산, 축산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스마트축산 확산 기반 구축, K-스마트축산 수출 활성화 등 세부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추진하기 위하여 축산물의 품질평가·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축산물 유통사업으로 축적된 유전·농장·품질·가격 데이터 및 축산 관련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통합·운영하고 있는 ‘축산정보e음’ 데이터를 보유한 축산물품질평가원을 전담기관으로 지정(’23.9월)하여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축산을 지원·육성하고 있다.
정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축산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축산 적용 농장을 발굴하고,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경진대회 개최, 솔루션 중심의 패키지 보급 시범사업, 스마트축산 수출을 위한 실증사업 지원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적용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스마트축산이 노동력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 질병, 냄새, 탄소저감 등 축산현장이 직면한 문제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축산분야 스마트팜 활성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축산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2024년도에 다음과 같은 정부 정책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1) 첫째,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지원한다.
해당 사업은 398억원의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현대화된 시설이 갖추어진 축사 또는 축사 신·개축을 통해 현대화된 시설 구축이 예정되어 ICT 융복합 장비 적용이 가능한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컨설팅 및 시·도 선정위원회 과정을 거쳐 선정된 농가를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축산분야 컨설턴트를 양성하고, 스마트축산 ICT 장비의 도입을 희망하는 축산농가의 장비 도입을 위한 단계별 컨설팅(서류점검, 사전점검, 시설점검, 사후관리)을 지원한다. 또한 사양관리·질병·경영·ICT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권역별 종합컨설팅팀을 운영하여 약 300농가를 대상으로 데이터 활용 및 경영개선을 지원한다. 한편 지자체·축산단체 등의 추천을 받아 우수농가(선도농가)를 선정하여 스마트축산 도입 초기 농가 등을 현장 밀착 1:1 멘토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 국가보조 30% 융자 50% 자기자본 20%(단, 융자금 일부 지방비 또는 자부담으로 대체 가능)
- 융자금리 : 2%(3년 거치 7년 분할상환)
(2) 둘째, 솔루션 중심의 축산스마트 장비 패키지 보급 시범사업을 지원한다.
해당 사업은 180억원의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개별장비가 아닌 생산성 향상, 사양‧번식관리 효율화, 냄새‧탄소저감, 가축방역 강화, 에너지 효율화 등 다양한 형태의 축산업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과 ICT 장비를 결합한 패키지를 보급하는 시범사업(‘23년도 9개 모델 선정 후 보급 중)으로 우수한 패키지 모델을 선정·보급**한다. 이를 통해 전후방 산업생태계를 육성할 계획이며 선정된 농가에게는 2년 이내에서 솔루션 이용료의 일부를 지원할 예정이다.
* 국가보조 30% 융자 50% 자기자본 20%(단, 융자금 일부 지방비 또는 자부담으로 대체 가능)
- 융자금리 : 2%(3년 거치 7년 분할상환)
** 우수모델 선정 → 가이드인 제시 → 농가신청 → 예비선정 → 컨설팅 → 최종선정 → 설치
(3) 셋째,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국내 스마트축산 솔루션 보유 기업에 대한 수출실증(PoC) 지원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국내 업체의 해외 진출을 독려하고 연관 사업의 동반 성장과 국내 스마트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23년도부터 시행 중이다. 또한 정부를 주축으로 하는 수출지원단 발족을 계획하고 있으며 수출실증 지원사업, 수출동향 파악, 수출 우수모델 및 유망업체 발굴, 수출대상국 발굴, 해외사례 조사, 박람회 참가 지원 등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스마트축산 기자재 및 솔루션 수출진흥을 위한 해외 실증(POC) 지원(’23년 183백만원)
- 덴마크·베트남·라오스(양돈), 호주·뉴질랜드(육우/낙농) 5개국
(4) 넷째, 스마트축산 실습 교육장을 올해 상반기 안에 2개소를 구축하고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요 축산대학, 연구기관, 생산자 단체가 운영 중인 실습농장과 거버넌스를 구축해 기 조성된 스마트축사 시설 일부를 교육·실습장으로 활용하여 축산 관련 학생, 단체, 청년농 등 신규 도입농의 체험․교육 등을 통하여 스마트축산을 확산시킬 예정이다.
(5) 다섯째,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농장에서 발생하는 생산 경영관리 시스템 및 ICT 장비에서 발생하는 주요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보유한 유전·농장·가축·품질·가격 데이터와 생체정보·온습도·사료급이기 등 ICT 장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표준화·융합·분석·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표준화·융합된 데이터는 플랫폼을 통해서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농가의 동의를 거쳐 전문 컨설턴트, 데이터분석 전문가, 솔루션 기업에 제공되어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마트축산에서 활용될 수 있는 우수 데이터 모델을 발굴하여 보급할 예정이다.
(6) 여섯째, 제2회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 혁신기술을 발굴할 예정이다.
2023년도에 처음으로 개최된 제1회 경진대회에서는 6개의 우수모델*을 발굴하였으며, 제2회 경진대회는 현장에 적용 중인 솔루션에 대한 우수모델 발굴과 제공되는 축산데이터를 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이 발굴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 AI 기반 분만사 정밀 관리시스템 ‘딥 아이즈’(양돈), AI 기반 모돈 생산성 예측 서비스(양돈), 포유모돈 급이 알고리즘을 통한 농장 경영효율 솔루션(양돈), 국내산 AI 기반 로봇착유시스템(낙농), 무인로봇착유 통합관리시스템(낙농), 빅데이터 활용 악취제어 관리시스템(환경)
(7) 마지막으로,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는 스마트축산 현황 및 성과에 대한 정기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과 기업의 솔루션 개발·보완 등에 활용하고,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21~‘27)을 통해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중심되는 2세대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하여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월간 한돈미디어 2024년 4월호 92~96p 【원고는 yswon215@ekape.or.kr로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