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국제곡물 2023년 4월호에서는 흑해 곡물 협정 연장으로 시장 불확실성 완화로 국제곡물 선물가격은 전 분기 대비 하락을 전망했다.
하지만 사료용 곡물은 전월 대비 하락이지만 여전히 전년 대비는 상승 전망이다.
3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 동향은 전월 및 전년 대비 상승한 173.7이다. 이는 전월 대비 3.3% 상승한 것으로 사료 주원료인 옥수수·대두박·밀 수입단가는 하락하였으나, 박류((주정박 1.2%, 채종박 4.3%)와 대미환율은 3.1% 상승한 영향이다.
주 : 수입단가는 CIF(운임보험료 포함 가격) 금액에서 중량을 나눈 값이며, 2023년 3월 수입단가는 1~20일 평균임.
자료 : 관세청, 한국무역통계진흥원
3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에서 ▲밀은 358달러/톤으로 전월(364달러/톤) 대비 1.6% 하락, 전년 대비 8.0% 상승, ▲옥수수는 332달러/톤으로 전월(333달러/톤) 대비 0.3% 하락, 전년 대비 2.3% 상승, ▲대두박은 546달러/톤으로 전월(552달러/톤) 대비 1.1% 하락, 전년 대비 9.4% 상승했다.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162.3으로 전 분기 대비 1.2%, 전년 대비 2.2% 상승을 전망했다. 이는 2022년 3분기 이후 하락세를 보였으나 아르헨티나의 수출량 감소 영향으로 2분기에 도입될 옥수수와 대두박 수입단가가 상승한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