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한화진)는 겨울철을 맞아 포획, 폐사체 수색, 차단 울타리 관리 등 강화된 대응 태세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겨울철 중점 관리대책’을 11월 13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겨울철(그해 11월부터 이듬해 3월)은 번식기 및 먹이부족 등의 이유로 야생멧돼지의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시기이며,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및 확산위험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편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서 최초 발생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총 3,327건의 발생건수 중 60% 이상인 2,078건이 겨울철 기간에 발생했다.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연간 발생건수는 2021년 964건, 2022년 878건, 2023년 10월까지 558건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미발생 지역으로 확산이 계속되고 있고 발생이 잦아든 지역에서도 언제든 재확산 가능성이 있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서식밀도 저감 : 야생멧돼지 집중포획을 통한 서식밀도 저감 • 포획지원사업 : 자체 포획에 어려움을 겪는 지자체에 열화상드론팀 8팀, 포획트랩 1,200개 등 야생멧돼지 포획 인력 및 장비 지원 • 출산기 집중포획 : 출산기(3~5월) 성체 포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오는 10월 10일부터 열리는‘2023년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 한돈산업 발전과 개선을 위한 「2023 대한한돈협회 국정감사 농정 요구사항」 13개 주요 현안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국정감사 기간 동안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전체 국감활동을 모니터링, 한돈산업 발전에 공로가 있는 우수 의원을 심사하고, 선정할 계획이다.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원장 노희경)은 최근 전국의 모든 야생멧돼지 시료에 대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전수검사를 하고, 폐사체 신고 접수를 안내하는 등 전국적인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최근 1~3개월 사이에 기존 발생지점과 30~60km 이상 떨어진 장거리 지역(충북 단양·보은, 경북 상주)에서 발생하는 등 전국 어디에서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전파될 수 있다고 보고 신속한 대응으로 광범위한 추가확산을 막을 계획이다. 특히 전문가들로부터 장거리 전파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 불법적인 야생멧돼지 폐사체 이동과 엽견사용 등 인위적인 요인의 차단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에 이달부터 특별감시단을 구성하여 발생지역 주변 10여 개 시군*을 대상으로 금지구역 내 엽견사용 등 불법행위를 단속할 예정이다. * 충북 충주·괴산·보은·영동 및 경북 상주·문경·봉화·예천·안동·울진 아울러 야생멧돼지 포획 개체(양성률 약 1.3%)에 비해 폐사체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률(약 50%)이 월등히 높아 바이러스 오염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폐사체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야생멧돼지가 번식기인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박선일 교수(강원대학교 수의학과)는 지난 10월 27일 서울시 서초구 제2축산회관에서 ‘야생 멧돼지 사체 경시적 분해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야생 멧돼지 사체 폐사일 추정치의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긴급행동지침(SOP)에 의해 사체 발견일 기준으로 일률적인 방역지역이 설정되어 이동제한 등 양돈농가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한돈자조금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박선일 교수는 경기 가평, 강원 횡성 등 야생동물의 활동이 빈번한 야산지역에 야생 멧돼지와 사육돼지 사체를 자연 상태로 놓고 카메라를 설치하여 사체의 변화 과정 사진 자료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야외에서 발견된 야생 멧돼지의 사체 분해 정도를 기준으로 폐사시간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 실험을 통해 사체에 접근하는 야생동물 종류, 접근 빈도, 곤충류의 ASF 감염 상황은 물론 사체 분해 속도는 체중, 온습도, 곤충 활동, 토양, 야생동물 등 여러 요인으로 천차만별인 상황을 확인했다. 또한 출현 빈도는 조류, 포유류, 설치류 순이었으며, 실험 위치에 따라 출현하는 동물 종류는 물론 시간에 따라 출현하는 동물 종류도 다양한 것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