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신문에서 양돈, 흑돈 등을 검색해 보면 버크셔라는 이름이 당시의 영문 표기 방식으로 계속 변화하며 기사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871년부터 1200년 동안 육식을 하지 않던 일본이 다시 육식하면서 규나베라는 소고기 전골 요리를 주로 먹다가 샤브샤브, 시키야키 등 다양한 소고기 요리들을 맹렬하게 소비하기 시작한다. 1912년 다이쇼 시대가 시작되면서 일본 국민의 육식 소비가 늘어나서 소고기 공급에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다이쇼 시대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본 돼지고기 요리가 유행하기 시작한다. 돈가스, 고로케, 카레 등이 그 시절부터 서양의 요리가 오늘날의 일본 요리로 정착했다. 1905년 이미 우리 농무목축시험장을 자신들의 권업모범장으로 장악을 한 일제는 버크셔를 도입하여 각종 연구에 착수한다. 재래돼지와의 생산성 비교는 물론이고 비료의 생산량, 그리고 햄 소시지 제조법까지도 조선 땅에서 연구한 기록이 있다. 조선의 재래돼지가 열등하다고 이야기하지만, 조선에서 돼지를 키우는 제일의 목적이 비료 생산이었다. 권업모범장에서 덩치가 반도 안 되는 조선의 재래돼지가 비료 생산량이 더 많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는 시대에 따른 돼지 사
중국인은 고기하면 돼지고기인데, 우리 민족은 고기하면 소고기이다. 그래서인지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소고기를 좋아하고 돼지고기를 잘 먹지 않았다고 한다. 사실일까? 1인당 육류 소비량 통계를 집계하던 1957년부터 돼지고기는 지금까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2년에도 육류 소비량의 48%가 돼지고기이다. 이미 미국, 일본 등 여러 나라가 닭고기 소비가 돼지고기 소비량을 앞서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돼지고기 소비가 많은 걸 어떻게 해설할지 모르겠다. 부여, 고구려의 후예라 돼지고기를 원래 좋아하는 민족이기 때문일까? 정부의 정책상 돼지고기 소비를 지속해서 장려해서일까? 1982년 조선일보 사설 ‘보리밥과 돼지고기’에서 우리가 돼지고기를 입으로는 좋아하면서 돼지고기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가지는지 알 수 있다. 정부는 1980년대까지 돼지고기 소비를 의도적으로 장려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냄새가 나서, 한의학에서 부정적이라, 비계가 많아서 등 여러 이유로 돼지고기를 기피했다고 한다. 조선시대 우리 민족이 돼지고기를 잘 안 먹었다는 건 양반계급, 한양의 소비문화였다. 유교 국가의 배청사상 영향이었다고 한다. 농민이 90
에드워드 버네이스(미국의 컨설턴트, 기자)는 1920년대 중반 미국 베이컨 제조회사인 Beechnut Packing으로부터 베이컨 판매량을 늘리기 위한 자문 요청을 받는다. 당시 미국에서는 간단한 아침이 대세였다. 버네이스는 입소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기획 기사를 게재했다. 버네이스의 기사는 당시 전국지에 “4,500 physicians urge bigger breakfast(4,500명의 내과 의사들이 든든한 아침 식사를 권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로 실렸다. 그리고 동시에 다른 기사를 배치해 베이컨과 달걀이 중요한 아침 식사 메뉴 중 하나임을 부각했다. 사람들은 기사 2개를 동시에 읽으며 <든든한 아침식사 = 베이컨>이라는 식으로 기사를 이해하게 되었으며, 당시 막강한 미디어였던 신문의 힘으로 입소문이 널리 퍼져 베이컨 소비는 급증했다. 미국인은 지금도 전체 베이컨 소비의 70%를 아침에 소비한다. 삼겹살 로스구이 소비문화의 시작 미국인들이 아침에 베이컨을 먹는 것이 100년이 안 된 일이듯 우리가 삼겹살 로스구이에 소주 한잔하는 소비문화의 시작은 빨라야 1970년대 중후반부터로 이제 겨우 50년이 안 된 역사다. 워낙 음식 문화도 패션처럼 트렌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역사는 하나의 무기이다. 과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 필자는 대한민국 돼지 이야기(2021년), 삼겹살의 시작(2019년, 대한민국 돼지산업사(2019년), (가제) 대한민국 돼지 수출의 역사(2022년 출판 예정) 등 우리나라 돼지고기의 역사를 정리한 책들을 썼다. 다큐 ‘삼겹살 랩소디’ 제작에 참여하면서 우리 민족과 돼지와 돼지고기에 관한 인문학 공부를 충실히 했다. 과거를 공부하고 오늘 식육산업 현장에서 식육마케터로 활동하면서 필자가 생각하는 코로나 이후 돼지고기 소비시장 환경변화에 대해서 거시적 관점으로 정리해 보았다. 1. 과거의 돼지고기 전 세계 어느 나라나 돼지고기는 가난한 농민, 노동자의 고기였다. 우리나라 역시 돼지고기는 가난한 농민, 노동자의 고기였다. 돼지고기는 가난한 사람들의 축제식이면서 생존식이였다. 해방 이후 압축성장의 산업화로 급속도로 붕괴한 농촌 공동체 사회의 공동체 의식을 도시에서 지탱해 준 것이 ‘삼겹살에 소주 한잔’이다. 빨리빨리 문화 속에서 장시간 삶거나 끓여 먹던 전통적인 습식 고기 요리법은 불판에 바로 구워 먹는 건식 요리 로스구이를 유행시켰다. 건식 요
1. 청년 창업의 시대다. 아니 어느 시대나 다 청년 창업의 시대였다. 지금 한돈농장을 하는 농장주들도 아마 1980년대에는 다들 청년 창업으로 양돈업에 진출했을 것이다. 세월이 흐르고 세상 돌아가는 것이 많이 달라졌다. 청년 창업을 스타트업이라고 한다. 열정적으로 여러 분야의 사업에 청년들이 뛰어들고 있다. 축산분야에도 여러 스타트업들이 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가장 있는 돼지고기는 우리가 아는 메이저 브랜드 한돈들이 아니고 얼마 전 유재석이 나오는 방송에 출연한 카이스트 돼지고기다. 카이스트 나온 청년이 돼지고기 유통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수 백억원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매출이 가파른 신장률을 보인다. 작년 회사 실적을 보니 놀라운 손실을 보고 있는데도 엄청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갓 잡은 돼지고기가 마케팅 컨셉이다. 갓 잡은 이란 말은 옛날 마을 잔치 같은 것을 할 때 자가 도축을 하던 시절이나 만나 볼 수 있는 돼지고기다. 이 청년이 자신이 어릴 때 외갓집에 가서 먹어 봤다고 하는데 이 청년이 아마 1990년 이후 생이니 이 청년이 기억하는 어린 시절에는 마을 잔치를 한다고 돼지를 자가 도축하면 불법이었을 것이다. 카이스트 나온 청년이 판매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