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초부터 PED 감염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는 소식이 여기저기에서 들려왔다. 국내 양돈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질병으로써 PED를 대표로 하는 소화기 질병과 PRRS에 의한 모돈의 번식장애와 자돈 및 육성돈군의 호흡기 질병 발병사례는 대단히 많다. 특히 최근에는 고병원성 PRRS와 연초의 PED가 심한 피해를 유발했다. 외부에서 농장으로 전파되는 사례를 바탕으로 농장의 차단방역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출하차량 및 출하대에 대한 차단방역 (그림 1)과 같이 PRRS의 전파 경로를 분석한 결과, 출하와 관련하여 출하대 및 출하차량이 70%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 후보돈 또한 출하차량을 통해서 출하대로 입식된다면 약 77%로 대단히 높은 수준이다. 그 외에 사람 관련이 16%로 조사되었다. (표 1)은 2024년 1~2월에 비육돈 출하차량에 대한 특정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 결과이다. 해당 차량의 운전석(핸들, 페달 및 바닥 등), 타이어 및 흙받이, 적재함, 운전기사의 옷과 신발 등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채취 방법으로는 멸균된 거즈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를 문지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PCR 검사 결과로 양성과 음성으로 판
계절은 돌고 돌아 또다시 겨울이다. 돈공들에게 대한민국은 살기 좋은 나라는 아닌 것 같다. 사람들에게 꽃 피는 봄과 단풍 드는 가을에 돈공들은 환절기라 호흡기에 시달린다. 또한 사람들이 휴가와 물놀이를 즐기는 여름에는 더위 땜에 고생하고, 사람들이 눈꽃과 온천, 불가마를 즐기는 계절에는 조금 나은 듯싶더니 질병 유입으로 고생하는 농가들이 의외로 많다. (그림 1)은 연도별 계절별로 PED(돼지 유행성 설사병) 발생건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에서 보시다시피 겨울과 봄철에 PED 발생건수가 유난히 많다. 필자 생각에는 겨울같이 추운 계절에 PEDV의 활동성이 높아지는 것도 있지만 차단방역이 잘되지 않은 이유도 있는 것 같다. 아무래도 온도가 낮으므로 수세의 어려움과 소독제의 효과가 낮아져서 그런 것 같다. 1. 농장에 질병은 어떻게 들어오는 걸까? 좀 더 명확히 질병의 원인체 바이러스, 세균은 농장에 어떤 경로로 들어오는 걸까? (표 1)은 태국 CP 양돈기업에서 농장 내로 PRRSV가 유입되는 경로를 분석한 것이다. (표 1)을 보면 질병 유입의 1순위는 출하 과정이다. 2. 출하 과정이 왜 문제일까? 출하 과정은 농장 내부와 외부가 만나는 것이다. 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