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 신입생, 신입사원 등 2024년의 새로운 시작을 활짝 알리는 봄인 3월이다. 이번 호부터는 유통 관련 이야기를 잠시 접어두고, 필자는 갓 신입사원으로 들어온 지역(영업) 부장이나 현재 현장을 잘 알고 있는 지역(영업) 부장에게는 기억을 되살리는 의미에서 “라떼”에 했던 농장 방문 활동을 몇 회에 걸쳐서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회사에서 나름대로 교육을 통해 완벽한 지역(영업) 부장으로 무장한 채 현장에 나오겠지만, 가끔 현장에서 이야기를 들을 때는 먼저 경험한 선배로서 아쉬운 부분이 있어서 그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 글로 경험을 이야기해 보겠다. 코로나19가 지나고 최근에는 구제역, PED, ASF 등 질병 예방으로 인해 농장 방문이 쉽지 않다. 하지만 농장주는 자기 농장에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듣게 되면 다른 사람은 모르겠지만 도움을 준 지역(영업) 부장에게는 흔쾌히 방문을 허락할 것이다. 필자 또한 다른 지역(영업) 부장과 차별화를 위해 노력했고, 또한 약속한 부분은 꼭 지키려고 했다. 필자가 신입사원일 때는 교육을 자그마치 13개월을 받았다. 농장 및 사료공장 내 생산 현장에서 실습은 물론 사무실에서 컴퓨터도 없이 계산기를 열심히 두드리고 틀린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연일 지속되는 불볕더위로 돼지 사육 농가의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돈사 및 돼지 관리에 각별하게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덥고 습한 날씨는 돼지의 고온 스트레스 발생 위험을 높여 생산성 감소를 불러오므로 폭염이 지속되면 어느 때 보다 철저한 돈사 관리가 중요하다. 면역력이 떨어진 돼지가 열악한 환경과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므로 청결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돈사 내부 유해 미생물 성장 억제 돈사가 침수되었거나 분뇨(슬러리)가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면 가장 먼저 환기하거나 송풍휀을 이용해 돈사 내부를 건조한 후 소독한다. 소독액이 마르면서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므로, 소독 후 환기휀, 송풍휀 또는 열풍기 등을 이용해 이른 시간 안에 건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돈사 외부는 비 오기 전후로 소독하고, 내부는 매일 소독하는 것이 좋다. 폭염 기간에는 환기장치나 냉방시설 가동이 많아져 전기사용량이 증가하므로 합선 여부, 노후 전선 교체, 누전차단기 정상 작동 여부 등을 확인한다. 특히 집중호우로 인해 돈사 내부가 물에 잠겼거나 물이 새었다면,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해 점검을 받고 미연의 사고를 막는다. ☞
경기도 축산진흥센터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축산악취저감제 3종을 대상으로 효과에 대한 실증시험을 추진했다고 지난 2월 2일 밝혔다. 실험은 축산진흥센터 내 돈사 내부를 일반 농장 환경과 비슷하게 조성하고 악취측정 장치와 악취저감제 분무가 가능한 안개분무시설 장치로 구성된 축산악취저감제 실증시험 장비를 설치했다. 동일 조건의 돈사 4개 구역에 악취센서 감지를 통한 악취발생량을 측정해 저감제를 살포하거나 일정 시간 분무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악취저감제는 산업용 탈취제와 미생물제 두 종류를 사용하였고, 악취저감제 분무 전·후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복합가스의 농도 측정을 통한 저감효과 비교와 암모니아 저감효과 지속력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산업용 탈취제와 미생물제의 악취저감제 제품 모두 황화수소와 복합가스의 저감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암모니아 저감효과에 대해서는 산업용 탈취제 제품이 미생물제 제품에 비교 우위를 보였으나 저감효과 지속력은 미생물제 제품이 산업용 탈취제 제품보다 더 좋은 지속력을 보여줬다. 경기도는 올해 6개의 제품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여 실증시험
겨울철 축사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주의가 요구된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18~2022년)간 경북도 내에서 총 310건의 축사 화재로 200억여원이 넘는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 중 우사가 53.95%(167건)로 가장 많았고, 돈사가 31.2%(97건), 계사 13.9%(43건)순으로 나타났다. 재산피해는 돈사가 160억여원, 계사가 30억여원, 우사가 9억여원 순 이었다. 시기별로는 기온이 낮은 겨울철(12월~2월) 기간에 전체 축사화재의 31.3%(97건)이 발생했다. ※ 봄(3월~5월) 83건 26.8%, 가을(9월~11월) 68건 21.9%순 화재 발생 원인으로는 전기적 요인 35.2%(109건)과 부주의 30%(93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사화재는 노후된 전기시설, 보온재 또는 전열기구 사용, 관리 부주의 등으로 발생한다. 겨울철에는 가축의 보온을 위해 축사를 막아두면서 화재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게 소방본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축사 화재 예방 방법으로는 ▲규격에 맞는 전열기구 사용, ▲노후 누전차단기 등 전기설비 점검 및 교체, ▲전기설비에 수분 및 먼지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주기적인 환기 및 보호조치, ▲축사 인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장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수칙(사례)을 소개했다. ■ 농장 출입 시 위반 사례 1. ‘사람’에 의한 전파 2. ‘차량’에 의한 전파 3. ‘장비’에 의한 전파 ☞ 농장 출입 시 방역수칙 농장 출입구에는 소독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람, 차량 및 내부에서 사용하는 장비 등을 철저히 소독하고, 진입로에 생석회를 도포하여 농장 안으로 오염원이 들어오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 후문(부출입구)은 폐쇄하거나 대인․차량소독기를 설치하고 사용해야 한다. 농장을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에 대한 출입기록부를 작성하고, 농장 출입자(농장 종사자 포함)는 방역복을 착용하고 방역실에서 전신 소독을 한 다음 진입해야 한다. 또한 농장 출입 차량(농장 소유차량 포함)은 반드시 축산차량으로 등록해야 하고, 농장에서 사용하는 장비는 사용 전․후 세척․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 농장 외부 → 내부, 위반 사례 1. 외부 울타리 관리 2. 농장 내 빗물 유입 3. 퇴비사 방조망 관리 4. 퇴비사, 톱밥 관리 5. 야생동물 차단 관리 ☞ 농장 외부 → 내부 방역수칙 야생동물이 농장 주변에 접근하지 않도록 바깥에 울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