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의 동물복지는 EU의 축산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30년 전 관련 법규가 정비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해서 추가되고 강화되어 시행되고 있다. 양돈에 관한 동물복지 규정(EU 지침)은 1991년에 처음으로 제정되어 2008년에 개정되었다. 이 개정에 따라 꼬리 절단 및 절치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방침이 결정되었으며 실제 임신모돈의 스톨 사육 금지는 2013년 1월부터 전 회원국에 전면적으로 적용되었다. ■ 비거세 비율이 증가하는 EU 웅돈 거세는 돼지고기의 수컷 냄새를 피하기 위해 미국 등 주요 양돈국가에서 거의 100% 실시되고 있지만, EU에서는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1970년대부터 영국, 스페인, 포르투갈처럼 전통적으로 거세를 하지 않는 국가가 있다. 최근 조사 주요 양돈국가의 외과적 거세 비율은 61%이지만, 거세하지 않는 비율이 네덜란드 등의 국가는 저웅취 웅돈의 개발, 도축장에서의 웅취감지 지육 분리 처리 등으로 비거세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경우 어디까지나 현재는 비거세가 자율규제이기는 하지만 동물복지단체와 소비자들의 압력으로 대형식품 마트의 조건이 비거세 또는 마취 거세돈이 될 가능성이 커 실질적으로 규정을
소비자들이 돼지고기 품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 육색과 외형은 가장 중요하고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은 풍미와 맛이다. 과거 비거세 수퇘지의 고기는 불쾌한 냄새와 풍미(웅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상육과는 다르게 판매가 이루어졌다. 소비자들은 외과적 거세의 부작용 등 동물복지(animal welfare)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이 높아지고,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에 점점 더 관심이 커지고 있다. 양돈 선진국의 경우 비거세 수퇘지 생산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그 결과 웅취(boar taint)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더 높이지고 있다. 갓 태어난 웅돈의 외과적 거세는 육질 개선과 사양관리의 편의성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웅돈의 공격적 행동을 막고, 웅취를 방지하기 위해, 보통 생후 첫 주에 외과적 거세가 행해졌다(Lealiifano et al. 2009). 유럽연합 법률에 따르면, 생후 7일령 내에는 외과적 거세를 할 수 있다. 신생자돈은 어리기 때문에 신경의 발달 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고 생각되었으나, 연구를 통해 반증이 입증되었다(Fitzgerald, 1994). 따라서 외과적 거세는 고통스럽고 스트레스가 많은 과정으로서(Earley & Cro
양돈장의 수익성은 모돈의 번식성적, 소요비용, 비육돈의 출하성적, 질병 및 후보돈의 유전적 능력, 직원의 숙련도, 돈사의 온도와 습도와 같은 환경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요인들의 주요 핵심지표(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파악해 집중적으로 개선 방안을 찾아간다면 가장 빠르게 수익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간 교배모돈 1두당 이유자돈수(PSY)를 개선하기 위한 주요 지표 미국의 가장 큰 양돈산업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업체인 Swine Management Services, LLC(SMS)는 2000년 초반부터 800여개의 양돈장 모돈 141만두 규모 농장 벤치마킹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였다. 양돈장의 규모는 모돈 200∼10,000두 이상으로 다양하다. 데이터는 각 농장에서 사용하는 24개 이상의 전산관리 프로그램들과 16개 종돈회사들로부터 수집하였다. 2012년 기준 성적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2012년 번식성적 분석 결과 52주간(2021년) 연간 교배모돈 1두당 이유두수가 15두 미만에서 30두를 초과하는 범위까지 다양한 생산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SMS사는 2005년부터 2012년
양돈장에서 생산성의 지표로서 모돈두당 연간 이유두수(PSY)와 모돈두당 연간 출하두수(MSY)를 활용한다. 양돈장에서 교배→분만→이유→교배 등의 데이터는 수집이 되고, 전산관리를 하는 양돈장의 경우 전산시스템에 저장되지만, 실제 이러한 데이터를 양돈장의 성적을 반영해 후보돈의 선발과 교배모돈의 도태 결정 등에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돈두당 연간 이유두수(PSY)를 양돈장간 비교 지표로 사용하고 있으나, 모돈두당 연간 이유두수(PSY)는 양돈장의 전체 지표로 양돈장 내 모돈 개체관리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고 양돈장의 모돈 개체별 사용기간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양돈장이 규모화와 전업화가 되면서 전산관리를 통한 정확한 데이터분석이 가능해졌고, 모돈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별 개선 방안의 도출을 통해 모돈두당 연간 이유두수(PSY)와 모돈두당 연간 출하두수(MSY)를 빠른 시간에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양돈장의 전산관리에 있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요인 분석과 활용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1. 모돈두당 연간 이유두수(PSY)를 구성하는 4대 요인 모돈 개체별 모돈두당 연간 이유두수(PSY)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돈
국내 양돈장의 수익성은 번식성적에 좌우되고 번식성적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전능력, 사양관리, 위생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수년째 다산성 모돈의 사육두수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복당 총산자수, 복당 생존자돈수, 이유두수 등의 번식능력과 비육돈의 일당증체량, 사료요구율(FCR)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양돈 컨설팅회사인 SVS사의 벤치마킹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양돈장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산성적의 현황 분석과 과제를 짚어보았다. 1. 벤치마킹 참여농장의 생산성적 변화 (표 1)에서 2010년, 2014년, 2019년의 연간 복당 평균 생존산자수, 복당 이유두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을 비교하였다. 이유두수는 실제 2010년에 거의 10.0두였고, 2013년에는 10.3두까지 증가했었다. 하지만 2014년에 일본에서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의 전국적 유행으로 2014년의 64개 농장의 평균 이유두수는 10.04두에 그쳤다. 그러나 2019년에는 11.11두를 기록하였다. (표 1) 벤치마킹 참여농장의 생산 및 번식성적 추세 마찬가지로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도 개선되었다. 일당증체량은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