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코바이러스는 우리나라 양돈환경에 크나큰 영향을 준 질병이었다. PMWS로 대변되는 자돈이 이유 후에 엄청나게 죽어 나가던 질병이었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분야(시설, 환기 등)에 대한 연구도 참 많이 진행되었었다. 써코백신 출시 이후 이러한 질병이 효과적으로 컨트롤되기 시작했으며 농장들의 성적도 상승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농장의 필수 백신으로 써코백신이 자리 잡게 되었으며, 특히 자돈에는 반드시 접종되는 백신이 되었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대부분 돼지는 써코백신이 접종되고 자라서 출하에 이르게 된다. ■ 그렇다면 지금의 써코바이러스는 어떻게 되었는가? 여전히 써코바이러스는 존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유전적으로 다른 형태의 써코바이러스(PCV2)들이 발견 내지는 유행하고 있다. 다양한 유전형의 써코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있지만, 현장에서 대체로 써코바이러스로 인한 임상증상, 흔하게 PCVAD(Porcine CircoVirus Associated Disease)라고 부르는 형태의 모습은 관찰하기가 어려워졌다. 가장 먼저 보이지 않게 된 증상은 PMWS라고 부르는 증상이며, 그 밖에 다른 증상들도 보기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사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겨울철에도 양돈장의 하루는 바쁘기 그지없다. 추운 계절에도 자돈은 계속 생산되고 출하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여름철과는 달리 겨울철의 돼지성장 속도는 남다른 면이 있어 출하하는 농장주의 마음은 따뜻할 수 있다. 다만 질병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한다면, 이러한 이점을 살리기가 어려우므로 농장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사람이 긴장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낮은 온도는 면역력 저하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 건조한 공기는 돼지의 점막 환경을 건조하게 만들고, 질병에 대한 방어력을 약화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들은 겨울이 되어 온도가 낮아지면 그 생존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그 전파가 보다 쉽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1. 농장의 질병 전파 : 수직감염 점검 질병으로 인해서 생산성에 손해를 보는 경우가 생긴다면 반드시 점검해 보아야 하는 부분이 바로 농장의 수직감염이다. 다양한 질병은 수직감염으로 발생하고, 이로 인해 포유자돈부터 출하기에 이르는 6개월여의 시간 동안 큰 손해와 낭비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요즘의 양돈장은 과거와 다르게 규모화되었으며 다양한 사육단계 또는 사육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농장에 나타
더운 계절이다. 사람도 힘든 계절이지만, 농장의 하루는 여전히 바쁘게 돌아간다. 한국의 양돈산업은 시간을 거듭하면서 계속 발전하고 있어, 최신 시설들이 갖추어진 농장들도 차츰 늘어나고 있다. 농장의 시설이 좋아지고 환절기도 너끈히 감당해내는 농장들도 많아졌다. 그런데 환절기도 잘 넘기는 농장에서 여름만큼은 성적하락을 피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만큼 대한민국의 여름이 녹록하지 않은 계절이라고 생각한다. 1. 여름철 폐사 원인 중 ‘위궤양’ 더위가 찾아오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번식에 문제를 주게 되게 된다. 여름철 고온이 가져다주는 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돼지를 힘들게 한다. 뿐만 아니라 모돈의 시상하부나 부신피질에 영향을 주어 성욕 감퇴, 배란 억제, 발정 주기의 불규칙과 같은 교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생긴다. 더불어 태아 성장 지연, 성 성숙 지연, 짧은 발정과 같은 문제도 발병하게 된다. 고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은 물론이고 그 섭취 습관도 매우 불규칙해진다. 그리하여 감소한 등지방은 당연히 번식성적의 감소로 이어진다. 이처럼 모돈의 성적에 부정적인 요소가 가득한데 여름철에는 폐사도 많이 발생한다. 여름철에 발생하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에(Mycoplasam hyopneumoniae)에 의해서 발생하는 돼지 유행성 폐렴은 우리나라에서 그 근원을 따지자면 굉장히 오래된 질병이다. 하지만 지금도 PRRS와 더불어 PRDC(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돼지 호흡기 복합증후군)를 만드는 주요한 병원성 원인체 중 하나이며, 농장 호흡기 질병의 근본 원인 중에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이에 필자는 본지에서 마이코플라즈마의 전파와 관련된 부분을 분석하고, 후보돈의 순치와 연관하여 유행성 폐렴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1. 원인체의 특징과 질병의 전파 유행성 폐렴의 원인균인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에균은 돼지에 감염되어 만성의 폐렴을 주증으로 하고, 이로 인하여 마른기침과 증체율 감소, 사료효율의 저하 등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차적으로 감염되는 병원성 원인체의 종류에 따라 폐렴의 정도 및 피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연관된 병원성 원인체로는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돼지 인플루엔자바이러스(IAV-S), 돼지써코바이러스2형(PCV2), 파스튜렐라 멀토시다균(Pasteurella multocida), 글래서씨병(Hemoph
1. 들어가며 환절기가 찾아오고 있다. 더웠던 여름은 지나가고 있으며 아침과 저녁에는 서늘한 기운이 온몸으로 느껴지는 계절이 오고 있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더욱이 봄과 가을이 짧아지면서 그 계절적 변화가 더욱 극심하여 양돈산업에 유리한 환경으로는 보기가 힘들다. 여기에 환절기마다 찾아오는 질병은 더욱더 양돈장을 괴롭히며 농가의 경영악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환절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번식문제,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은 물론 제일 많이 경험하게 되는 호흡기 증상에 대한 문제도 느끼게 된다. 이런 문제들은 모두 일차적으로는 ‘계절적인 변화’에 기인하며, 계절적인 변화를 정의한다면 ‘일교차의 증가’와, ‘기온과 습도의 저하’이다. 2. 돼지의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대처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의 경우에는 항상성(Homeostasis) 유지 기능이라 하여 외부의 자극을 견디고 내부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하면 외부 환경적인 조건이 적정생육 조건을 벗어나게 되어도 견디는 힘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적정 이상의 외부 환경조건의 악화는 각종 대사기능을 떨어뜨리고, 각종 성장 지표들에 안 좋은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