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지난 11월 16일, 충북 음성 소재 육용오리 농장(약 12천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4차*)되었다고 밝혔다. * (사육농가 발생현황) (1차) 음성 메추리(11.8), (2차) 음성 육용오리(11.9), (3차) 나주 육용오리(11.13) 해당 농장은 음성 메추리 농장(11.8 발생) 3km 내 방역대 농장으로 중수본에서는 감염 개체를 신속하게 발견하기 위해 가금에 대한 검사주기를 단축*하였으며, 이번 확진도 단축된 방역대 농장 정기검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 (모든 가금) 도축장 출하 전 검사(신설), (육용오리) 사육기간 전 2회 → 3~4회,(육용오리외 가금) 월 1회 → 2주 1회, (방역대 3km 농장) 3주간 매주 1회 → 5일 간격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오늘 음성 메추리농장 방역대(3km) 농장에 대해 실시한 강화된 정기검사* 과정 중 육용오리 농장(약 12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추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기존) 3주간 매주 1회 → (강화) 5일 간격 해당농장은 11월 9일부터 이동제한 조치 중이며, 중수본은 의심축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하여 해당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예방적 살처분,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조치를 실시 중에 있다. * 해당 농장은 음성 메추리 농장과 2.6km, 음성 육용오리 농장과 3.6km 거리에 위치 * 반경 1km 이내 가금농가는 없으며,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 (사육농가 발생현황) (1차) 음성 메추리(11.8), (2차) 음성 육용오리(11.9), (3차) 나주 육용오리(11.13)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1. 발생현황 및 초동조치 (발생현황)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장관, 이하 ‘중수본’)는 11월 15일 현재까지 총 3건의 가금농장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중수본은 11월 8일 충북 음성 메추리 농장(1차) 첫 발생 후 선제적인 정밀검사를 통해 충북 음성의 육용오리(2차)와 전남 나주의 육용오리 농장(3차)에서 양성개체를 조기 발견하였다. * (1차 발생) 충북 음성 메추리(11.8일, 신고) → (2차 발생) 충북 음성 육용오리(11.9일, 발생농장 주변 정밀검사) → (3차 발생) 전남 나주 육용오리(11.11일, 정기 정밀검사) 이는 지난 11월 1일(월)부터 감염개체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실시한 가금검사 강화* 조치에 기인한 것이다. * 모든 가금에 대해 도축장 출하 전 검사, 육용오리 사육기간 중 2회 → 3∼4회, 육용오리 이외(산란계·토종닭 등) 월 1회 → 2주 1회 (초동조치) 중수본은 의심가축 발생 즉시 초동대응팀과 중앙역학조사반을 현장에 급파하여 농장 출입통제와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의심가축 발생농장의 가금을 신속히 살처분하였다. * 현재 잔존물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위험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기존 ‘발생농장 반경 500m 내 전(全) 축종’으로 하되, 오리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할 경우 500m∼1km 범위 내 오리에 대해서도 추가로 살처분하는 방안을 11월 26일까지 적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11월 26일 이전이라도 발생농장 반경 10km 내에서 추가 발생 시, 양상*에 따라 신속하게 가축방역심의회를 거쳐 ‘500m 내 전(全) 축종’과 ‘500m∼1km의 동일 축종’ 살처분 등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조정키로 하였다. * (예시) 반경 3km 내에서 2건 이상 발생하고 수평전파 의심 등 야생조류와 가금농장에서의 고병원성 AI 발생 양상, 병원체 유형 분석, AI 방역조치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가금농장의 위험도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현재 산발적 발생 중인 점과 오리는 타 축종과 비교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 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방역대(발생농장 반경 3km) 내에 대한 방역조치 강화를 전제로 기존 ‘500m 내 전(全) 축종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의 11월 10일자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검사현황(총 38건 : 고병원성 3건, 저병원성 25건, 검사 중 10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11월 12일, 전남 나주 소재 육용오리 농장(약 37천수 사육)의 조기검색·예찰을 위해 실시한 정밀검사 과정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반경 500m 이내 가금농가 없음 중수본은 지난 11월 1일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된 즉시 위기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하면서 방역에 취약한 지역의 오리농장에 대해 검사주기를 단축(사육기간 중 3회 → 4회)하는 등 방역조치를 강화한 바 있다.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의 11월 10일자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검사현황(총 32건 : 고병원성 3건, 저병원성 24건, 검사 중 5건)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11월 11일 충북 음성 소재 육용오리 농장(약 23천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추가로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 해당 농장은 11월 9일 발생한 충북 음성 메추리 농장의 방역대(3km) 내 농장으로 방역대 일제검사 과정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확인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충북 음성 소재 메추리 농장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진(H5N1형)과 육용오리 농장(방역대 3km 이내) 의심축 발생*에 따라 방역 강화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현재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며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1. 상황진단 국내 야생조류에서 3건*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발견되었으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동일한 날짜에 각각 발생한 것으로 볼 때 야생조류에서 광범위하게 오염된 것으로 판단된다. * H5N1형 검출(3건 ) : (1차) 천안 곡교천, (2차) 부안 고부천, (3차) 정읍 정읍천 유럽에서는 올해 여름에도 계속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다가 9월부터 H5N1형을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유럽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시베리아에서 교차감염 후 겨울철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고, 최근 철새 유입 증가로 오염지역 확산에 따라 농장방역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일본은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가축 발생(11월 9일) 2. 방역 추진 상황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신속하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11월 9일 실시한 음성 메추리농장 방역대(3km) 일제검사 과정 중 육용오리 농장(약 23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현재 정밀검사를 진행 중이며 고병원성 여부는 1∼3일 후 나올 예정 중수본은 의심축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하여 해당 농장에 대한 출입 통제, 예방적 살처분,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조치를 실시 중이다.
사료·종돈
농협사료, '농심천심(農心天心)' 정신 농업인과 함께하는 상생 실천
동약·첨가제
세바코리아, ‘환절기 흉막폐렴 컨트롤 전략’ 웨비나 개최
기관·단체
(사)대한한돈협회 손세희 회장 ‘축산전문지 기자간담회’ 개최
기관·단체
(사)한국양돈연구회, 제44회 전국양돈세미나 개최 … 제26회 한국양돈대상 시상식 진행
질병·방역·위생
우리 농장 호흡기 질병 현황판, 도축장 폐 병변 검사 / 박새암 팀장
사료·종돈
선진, ‘2025 별이야 페스티벌-스타필드X안성문화장 희망나눔 먹거리축제’ 지역상생 푸드쇼 펼쳐
식품·유통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년 하반기 저탄소 인증 축산물 유통‧판매 지원사업’ 참여업체 10월 26일까지 공모
사료·종돈
선진포크한돈, ‘2025 BMW 모토라드 데이즈’서 캠핑 감성 담은 특별한 맛 선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