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적 불경기 속 럼피스킨 백신 ‘신수요 활짝’ ASF 백신 ‘안전성에 발목’ … 구제역 백신 ‘유전자재조합 주목’ 한해 동물약품 시장 최대변수 중 하나는 질병이다. 질병 발생·확산 여부에 따라 해당 동물약품 시장이 활성화되기도 움츠러들기도 한다. 지난해(2023년) 하반기 국내 동물약품 시장에서는 없었던 시장이 하나 생겨났다. 바로 럼피스킨 백신 시장이다. 지난해 10월 럼피스킨이 국내에 첫 발생, 방역당국에서는 럼피스킨 백신 긴급공수에 들어갔다. 적지 않은 물량이 수입됐다. 올해(2024년)도 럼피스킨 백신 수요는 이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 435만두 분량 럼피스킨 백신 구매 입찰을 했다. 소 전두수 접종 분량이다. 백신 구매 입찰 결과 코미팜이 납품업체로 최종 선정됐다. 하반기에도 50만두 분량의 럼피스킨 백신 추가구매 입찰이 진행됐다. 모기, 침파리 등 럼피스킨 매개체를 구제할 수 있는 살충제, 구충제 시장도 활기를 띠었다. 강력한 럼피스킨 방역에도 불구하고 럼피스킨은 간헐적으로, 그리고 지속해서 터져 나왔다. 백신 접종 등 더 꼼꼼한 방역이 요구된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도 올해 내내 짙은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올해 들어서 1
(주)한국히프라(한국사업부문장 노상현)는 지난 7월 9일 전북 전주시 라한호텔, 7월 10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인터시티호텔에서 ‘PRRS 자돈 백신 스마트하게 접종하려면’을 주제로 ‘2024 한국히프라 PRRS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올바른 PRRS 자돈 백신을 위한 팁(카를레스 비야타 박사/스페인 IRTA), ▲유니스트레인 10주년, PRRS 컨트롤을 위한 히프라의 노력(알렉스 우 수의사/히프라 아시아·오세아니아 기술·마케터 매니저), ▲유니스트레인 PRRS 자돈 접종사례(살바도르 로메로 수의사/히프라 글로벌 프로덕트 매니저), ▲진화를 거듭하는 피내용 무침주사기, 히프라더믹 UX(페르난도 메제리나 수의사/DH 글로벌 프로덕트 매니저) 등의 주제발표로 진행됐다. 카를레스 비야타 박사는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은 확인된 지 40년 이상 되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질병으로, PRRS 바이러스는 변이가 빠르고 재조합 능력이 높아 컨트롤이 어려운 바이러스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에서 가장 널리 퍼진 강독주는 L1C.5로 번식돈, 자돈, 비육돈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L1C.5 균주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더 많은 자돈이 폐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