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영양 환절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영양적인 제안 / 박재원 박사
1. 시작하며 황금 들녘을 떠올리게 하는 추수의 계절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수확을 풍성하게 하는 계절이지만, 양돈 현장에서의 월별 출하체중을 살펴보면 여름철인 7~8월에는 출하체중이 낮아지는 경향이 보이며, 그 여파가 상대적으로 선선하다고 느껴지는 9월까지 미치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10월 이후이다. 4분기인 10~12월의 출하체중을 비교해보면 많이 더웠다고 기록된 2018년도와 비교하여 전년도인 2023년도의 출하체중이 더 감소하였다. 이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PSY를 살펴보면 다산성 모돈으로 오면서 2018년 6월 20.9두가 2024년 6월에는 22.3두로 1.4두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저체중 자돈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면서 전반적으로 돼지의 강건성이 낮아지면서 관리가 어려워진 부분도 있다. 특히나 9월부터는 날씨의 변화가 심해지기 시작한다. 충남 천안지역의 7~10월 온도 변화 및 일교차를 살펴보면, 일교차가 커지는 것을 확연히 확인할 수 있으며 10월에는 더욱 극심해지는 것을 확연히 볼 수 있다. 이런 날씨에는 전반적인 면역력이 낮아진 돈군이 하루에도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되면서 생산성 저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