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2024년 상반기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해 유전능력이 뛰어난 한국형 종돈을 ‘두록(부계)’ 4마리, ‘요크셔(모계)’ 3마리, ‘랜드레이스(모계)’ 1마리 총 8마리 선발했다고 밝혔다.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은 국내 종돈장에서 보유한 우수 종돈을 평가·선발·공유해 유전적으로 연결하고, 국내 사육 환경에 맞는 한국형 종돈을 개량하는 사업이다. 현재 전국 종돈장 17곳과 돼지 인공수정센터 6개소가 참여하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2008년부터 시작. 국립축산과학원은 사업 관리와 국가 단위 유전능력 평가를 맡고, 한국종축개량협회는 사업 추진과 능력 검정을 담당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육하는 비육돈은 부계쪽 ‘두록’ 품종과 모계쪽 ‘요크셔’와 ‘랜드레이스’ 교잡종으로 생산된다. 부계쪽에서는 빠른 성장률을 중요하게 여기고, 모계쪽은 새끼 수가 많을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다. 이번에 선발한 부계쪽 ‘두록’은 90kg 도달 일령이 전체 종돈 평균보다 최대 20일 빨랐다. 모계쪽 생존 새끼수는 ‘요크셔’가 평균보다 최대 2.3마리, ‘랜드레이스’는 2.6마리 많았다. 선발 종돈은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 인공수정센터로 지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지난 12월 4일 서울 서초구 제2축산회관에서 ‘한돈 농가별 맞춤형 종돈 공급체계 실증사업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대한한돈협회는 2017년 돼지의 가축 등록기관으로 지정되면서 국내 전체 순종돈의 약 47%를 등록하는 기관으로 성장하였으며, 혈통등록시스템과 전산경영관리시스템의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양질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동시에 GGP-GP-PS 농장 데이터를 통합해 각 농장의 사육 및 생산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비육농장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한돈협회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종돈 개량을 위한 단계별 데이터를 수집·통합하고, 과학적인 분석과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은 물론 구체적으로 한돈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종돈 및 정액 공급을 통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코자 노력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대한한돈협회가 한돈자조금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한돈농가별 맞춤형 종돈 공급체계 실증사업 연구용역’에 대한 결과로 순종돈의 유전적 개량이 PS 농장의 유전적 능력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출하 도체 성적 분석을 통해 매출액을 높이는 방안 등을 제시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