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본고를 통해 2024년 양돈농가가 향후 펼쳐질 도전을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해서 계획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첫 번째 : 농장의 생산성 개선 모든 분야가 마찬가지지만 하위는 도태되고 상위는 생존한다. 상위농가는 저수익 시기에는 생존능력이 강하고 고수익 시기가 왔을 때 이익을 거둘 수 있다.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몇 가지 팁을 살펴보면 ①직원과의 소통강화, ②환기 등의 시설에러 개선, ③질병 컨트롤, ④충분한 모돈 갱신, ⑤고능력 종돈 도입 등이다. (1) 직원과의 소통강화 경영주나 관리책임자의 생각이 직원과 잘 공유되어야 생산성 개선이 가능하다. 경영주나 관리책임자가 아니라 현장 관리자가 돼지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현장 관리자의 손에 많은 부분 생산성이 달려있다. 물론 현장에서 현장 관리자를 대면하여 소통하는 것도 중요하고, 부가적으로 ‘칠판’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 환기 등의 시설에러 개선 환기 등의 시설에러가 결정적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다양하다. 환기 등의 시설에러는 개선을 해두어야 여러 원인 중 환기시설을 제외하고 접근할 수 있어서 원인 파악이 쉬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천문학적인 돈을 풀어서 가치가 떨어지고, 미국과 중국 및 러시아의 패권 경쟁으로 자원과 완제품 물류가 어려워져 전 세계적으로 가격이 오르는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다. 사료곡물 역시 가격상승으로 생산비 65%를 차지하는 사료 단가가 600원/kg을 넘어서고 전기료마저 상승이 불가피한 위기 시기를 맞고 있다. 여기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멧돼지 확인 지역이 예상대로 확산일로에 있고, 정부가 과태료와 농장폐쇄 위협을 수단으로 밀어붙이는 여러 대책이 양돈장을 압박하고 있다. ■ 정부 방역정책 적용과 ASF 농장 유입 방지 점검 포인트 본고에서는 정부 방역정책 강화(8대 방역시설 설치)를 어떻게 올바르게 적용할지와 ASF가 농장에 유입되지 않도록 특별히 점검해야 할 포인트가 무엇인지 가장 중요한 두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농식품부 방역정책의 합리적 적용 농식품부의 방역정책(8대 방역시설 설치)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적용할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8대 방역시설 설치는 북부권(인천, 경기 북부, 강원 철원)의 재입식을 요구하는 농가들에게 농식품부가 재입식 조건으로 내걸면서 만들어진 개별농장의 차단방역 강화조치이다
정부의 방역정책을 보고 현장에서 느끼는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장 전문가로서 의견을 솔직하게 말하고자 한다. ■ 현장 전문가의 방역정책 개선사항 ⓵ 첫 번째는 한국은 생돈육이나 돼지를 수출하는 국가인가? 라는 질문을 해봐야 한다. 조금 더 풀어서 질문하면 생돈육이나 돼지 수출 비중이 높아서 ‘수출’을 하지 못한다면, 한돈산업이 위기가 찾아오는가? 이다. 가축법정전염병이 발생하면 수출이 중단되므로 돼지고기가 쌓여서 돈가가 폭락하고 위기가 찾아오는가? 로도 질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생돈육이나 돼지를 수출하는 국가인 유럽이나 북미와 남미 또는 호주와 같은 국가들은 수출 규모가 크기 때문에 가축전염병 발생 시 수출을 재개하기 위해서 적극적인 살처분을 고려할 수 있다. 살처분의 이유가 있는 나라들이 따로 있다는 생각이다. 살처분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적용하는가를 결정하는 기준은 ‘수출’ 여부라고 판단된다. 호주 정부가 한국의 구제역 방역(2010~2021년)을 평가한 내용을 살펴보면, 한국 정부가 백신을 사용하는 경우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다시 얻기 더 어렵다고 판단해서 백신 접종이 늦었다고 한다. 구제역 청정국 지위는 ‘수출’을 위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