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하며 최근 코로나19, 전쟁, 인플레이션, 유가상승, 금리상승, 가뭄 등의 이유로 가파른 곡물가 상승은 양돈장의 생존과 국가 식량자급률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양돈선진국에 비해 생산원가 비중이 높고 생산성이 뒤처지는 우리나라 양돈업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생산성을 극복해야 하는 숙명에 직면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가장 빠른 길은 첫째는 다산성 모돈으로의 전환이나 자가 정액을 사용하는 등 번식·분만 관련 성적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둘째는 이유 후 육성률을 높이는 것이다. 이런 조건이 갖춰진 상황에서 각종 질병이 안정화되었을 때 농장이 목적으로 하는 성적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 소개할 농장은 2020년 MSY 16.3두였던 농장이 2021년 MSY 22.0두로 1년 만에 MSY 5.7두가 상승하게 된 농장으로 이 결과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함께 나누고자 한다. 2. 농장 상황 사례 농장은 2018년부터 폐쇄돈군을 유지하기 위해 다산성 종돈인 덴브리드 순종돈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농장은 부종병으로 자돈 6~12주령 사이 폐사가 다발하였다. PRRS는 폐쇄돈군을 유지하는 상황에서도 2022년 현재까지도 4~
2021년 11월부터 2022년 4월이 된 지금까지 필자의 귀에 여러 지역에서 PED 발생 이야기가 돌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필자의 주변(정기진료 농장과 지인 농장)에서는 아직 발생은 없다. (그림 1)과 같이 PED 발생은 2013년 11월 이후 새로운 PED 항원 타입(G2b 그룹, 기존 PED 항원은 G2a 그룹, 기존 PED 백신주는 G1b 그룹)의 유행이 큰 이슈였다. 당시 문제는 기존의 PED 백신으로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소문과 함께 농장에서 ‘인공감염’이 무분별하게 시행되었다. 더 큰 문제는 인공감염 후에도 2~3개월 정도의 안정 기간으로 인공감염의 추가와 함께 상재화 농장이 증가하는 사례도 다수 확인되었다. 이후 새로운 PED 항원 타입의 사독백신이 출시되면서 PED 발생 보고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 연중 PED 발생 우려 시기와 감염증가 반복 KAHIS(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의 2000년 이후 PED 발생 보고를 분석해 보면, PED는 매년 11~2월 사이 발생률이 높아 이 시기 농장의 감염이 증가할 위험이 크다. 또한 2013년 이후 매 4년 주기로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PED 발생 위험지역의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