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에서 돼지 3,000마리를 사육하는 양돈장 A대표는 양돈 경영 25년 경력의 베테랑이다. 이런 그에게 가장 큰 고민이 있다면 바로 ‘냄새 민원’이다. A대표는 “어느 날부터인가 양돈장 인근으로 아파트가 생겨나면서 냄새 민원이 급증하게 됐다”며 “환경과 단속이 빈번해지고 과태료도 많이 냈다. 반복되는 민원에 영업정지가 우려됐다. 냄새 저감을 위해 다양한 제품을 사용해 봤는데 큰 효과를 못보다가 에어리페어와 FS골드 사용 후 민원 걱정을 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A대표는 현재 에어리페어와 FS골드를 물에 1,000배 희석해 안개분무하고 있다. 11개 돈사 중 비육사, 육성사, 임신사에 안개분무시설을 설치하고 30분에 한 번씩 분무하고 있다. 그는 “이들 제품을 2년 정도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는 민원 발생이 거의 없다”며 “비육사는 윈치형이고 시설이 오래돼서 냄새로 인한 민원이 제일 골치 아팠는데 한시름 놓고 있다”고 전했다. 광범위한 냄새를 즉시 제거하는 ‘에어리페어’는 안개분무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냄새 물질을 만나야만 작용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효과가 일정한 것뿐만 아니라 깔짚 속이나 작업복에 밴 냄새까지 제거한다. 항생
축산환경 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있다. 가장 먼저 다가올 환경규제로는 내년부터 시행하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암모니아 규제이다. 내년부터 모든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사업장과 퇴비공장은 암모니아 30ppm 이하로 관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국내 대부분 공동자원화나 퇴비공장은 암모니아 저감시설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며, 이대로 법이 시행된다면 내년에 분뇨 대란이 날 수밖에 없다. 두 번째로는 이미 적용 준비가 끝난 액비 살포량의 제한이다. 가축분뇨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라 액비 살포량을 시비처방서로 제한키로 했고 환경부는 전자인계시스템을 통한 규제 준비가 끝났다. 빠르면 오는 가을철부터는 가축분뇨 액비 살포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 수 있다. 기존 ha당 40~60톤 이상 살포하던 액비량을 시비처방서에 따라 10~20톤 살포하게 된다면 경종농가가 액비 살포 자체를 거부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 1/3 이하로 예산이 삭감된 액비살포비 지원도 액비 이용을 막는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렇게 퇴·액비 사용이 막힌다면 결국 농가들은 정화방류로 전환해야 하는데, 대부분 시군에서 수질오염총량제를 이유로 인해 정화방류 인허가를 제한하고 있다. 한돈협회는 개별농가의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과 함께 한·육우, 젖소, 돼지, 닭, 오리를 사육하는 15천여 표본 농가*를 대상으로 농장 현황, 가축분뇨 관리현황, 악취 관리현황, 에너지 사용현황 등에 대해 현장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 전국 한·육우, 젖소, 돼지, 닭, 오리 농가 모집단 102,422호를 바탕으로 표본 추출 축산환경조사는 종래 가축분뇨 관련 조사의 소규모‧부정기적 한계를 보완하고, 축산분야 탄소중립과 악취저감 이행을 위해 요구되는 실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2022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다. * 조사방법 : ‘22년부터 5년 주기 전수조사, 그 외 표본조사 ■ 2023년 축산환경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장 연간 전체 근로자 수 164,187명 중 내국인은 145,396명(89%), 외국인은 18,791명(11%)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기간 중 가축분뇨는 총 50,871천톤/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 중 돼지분뇨가 19,679천톤(39%), 한·육우가 17,511천톤(34%)으로 이들 축종이 전체 발생량의 73%를 차지하였다. 발생한 가축분뇨의 51.5%(26,190천톤/년)는 농가에서 자가 처리되고,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