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축산업은 높은 사료비와 농촌 고령화, 악취(분뇨) 환경문제, 가축질병 외에도 경영비 절감, 탄소저감, 동물복지 확산 등 중대한 현안을 안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축산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축산은 ICT를 기반으로 한 센싱기술과 4차산업 기술이 적용된 IoT 장비를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ICT 장비로 축산환경을 제어하고 가축 행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상 징후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뿐 아니라 선제 대응도 가능하다. 또한 수집된 정보는 다각도 알고리즘 분석으로 구조적인 농장의 현안을 해결할 수도 있다. 본 고에서는 2024년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양돈분야의 스마트축산 성과와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스마트 장비 보급확산 국내 축산농가에 개체관리가 가능한 생체인식 센서를 기본으로 사양·경영분석, 분뇨·악취저감, 농장 환경 컨트롤 및 에너지 효율화 등 관련 ICT 장비가 확산·보급되고 있다. 2014년부터 시작된 축산분야 ICT 장비 보급은 2023년 전업농가 기준 약 23.1% 수준이며 정부는 2027년까지 4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ICT 장비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제2회 스마트축산 AI 경진대회’ 개최를 위해 현장 문제 해결형 상용화 기술 및 알고리즘을 공모한다. ‘제2회 스마트축산 AI 경진대회’는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축산 현장 문제 해결」을 공모 주제로 ▲생산성․품질향상, ▲사양·번식관리 효율화, ▲악취·탄소 저감, ▲가축방역 강화, ▲에너지 효율화 등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우수사례와 알고리즘을 발굴하고 확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 대회는 특히 축산 농가 및 단체뿐 아니라 스마트축산 관련 산·관·학계 등으로 참여 주체를 확대하고, 경진대회의 우수사례 등을 스마트축산 패키지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실제 축산 현장에 보급되도록 관리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번 대회 공모 분야는 ‘상용화 기술 제안’과 ‘알고리즘 개발’ 2개 분야로,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두 가지 분야에 모두 참가할 수 있으며, 대학교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경우는 알고리즘 개발 분야에만 참가할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7월 23일 24시까지 전자우편으로 공모 신청을 받으며, 서면 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3년 스마트축산 AI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데이터 수집 내용과 최적모델 도입 성과 등을 평가하는 이번 대회는 올해 최초로 개최되는 것으로, AI 기술 및 축산데이터를 적용한 민간 사례를 발굴하고 확산시키는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축산과 관련된 AI․빅데이터 기술을 보유하고 현장에 적용 중인 기업 또는 단체와 농가*로 팀을 구성하여 지원할 수 있으며, 대상 축종은 소·돼지·가금이다. * 농가 참여자격 : 동일 사육시설(축산업 허가기준)에서 사육중인 가축 마릿수 기준 ① 소 50두 이상, ② 돼지 모돈 100두 이상, ③ 가금 3만 수 이상 공모 주제는 ‘AI․빅데이터 기술 활용 축산 발전 모델 구현’으로, 참가 분야는 ▲생산성 품질향상, ▲경영비 절감, ▲분뇨관리, ▲질병관리, ▲기타, ▲종합 중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다. 희망자는 축평원 누리집* 공지·공고란에서 참가신청서와 제안서 양식을 내려받아 10월 17일까지 전자우편**으로 접수하면 된다. * 축평원 누리집 : www.ekape.or.kr, ** 전자우편: smart_livestock@ekape.or.kr 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