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학자뿐만 아니라 대다수 언론기관에서 길어진 여름철과 짧아진 겨울철을 경고하고 나선다. 늦어진 환절기와 더불어 최소 환기만으로 버텨야 하는 겨울철 또한 호흡기 질병에 취약한 절기이니 만큼, 필자는 돼지 호흡기관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겨울철 차가운 공기와 최소 환기량으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중요 질병 두 가지를 다뤄보고자 한다. 1. 돼지 호흡기 질환의 중요성 돼지에서 호흡기 질환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우선 얘기해 보고자 한다. 인공장기를 거론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동물은 돼지이다. 영장류인 원숭이나 고릴라가 아닌 돼지가 가장 인간과 유사한 장기를 가지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인공장기 연구에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동물이기도 하다. 중요한 수술을 앞둔 의료진이 자돈으로 예비수술을 하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돼지의 장기가 인간과 유사한지를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성인 70kg의 폐장 크기는 6L인데 돼지의 폐장 크기는 어떻게 될까? 규격돈에 익숙한 우리는 110kg가 기준이 되지만 성돈은 통상적으로 195kg를 기준으로 한다. 그렇다면 이 성돈의 폐장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 놀랍게도 4.8L밖에 되질 않는다. 훨씬 작은 체구를 가진 사람보다 더 작은
3월이 훌쩍 지나고 있는데 아직 날은 춥다. 왠지 모르게 봄이 짧아진 느낌이다. 날씨의 변화에 따라 질병의 발생 양상도 달라질 것이다. 일교차와 습도의 변화가 영향을 준다. 어려운 양돈 현장에 빨리 봄이 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1. PRRS바이러스의 변화 미국에서는 PRRS 백신을 하는 농장임에도 PRRS로 인해 피해를 크게 입는 사례가 보고된 지 오래이다. 마치 처음 PRRS를 겪는 것처럼 모돈이 유·사산을 하고 생산성이 크게 흔들리기 때문에 여간 골칫거리가 아니다. 2022년부터 국내에서도 심심치 않게 PRRS로 인한 모돈 피해사례가 들려왔다. 모돈이 폐사하고 유·사산이 쏟아지고 살아남은 자돈도 시원치 않다. 진단을 해봐도 바이러스가 원활히 분리되지 않아서 정확한 진단에도 시간이 걸려서 피해를 보는 기간만 길어진다. 최근 전북대학교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북미형(type 2) PRRS 리니지 1에 속하는 야외 변이주로 확인되고 있다(참고문헌 1). 이 고병원성 PRRSV은 학술적으로는 NADC34-like라는 용어가 붙고 혹은 L1A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하여튼 현장에서 번식장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PRRS 변이바이러스가 돌아다니고 있는 것인 사실이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에(Mycoplasam hyopneumoniae)에 의해서 발생하는 돼지 유행성 폐렴은 우리나라에서 그 근원을 따지자면 굉장히 오래된 질병이다. 하지만 지금도 PRRS와 더불어 PRDC(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돼지 호흡기 복합증후군)를 만드는 주요한 병원성 원인체 중 하나이며, 농장 호흡기 질병의 근본 원인 중에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이에 필자는 본지에서 마이코플라즈마의 전파와 관련된 부분을 분석하고, 후보돈의 순치와 연관하여 유행성 폐렴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1. 원인체의 특징과 질병의 전파 유행성 폐렴의 원인균인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에균은 돼지에 감염되어 만성의 폐렴을 주증으로 하고, 이로 인하여 마른기침과 증체율 감소, 사료효율의 저하 등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차적으로 감염되는 병원성 원인체의 종류에 따라 폐렴의 정도 및 피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연관된 병원성 원인체로는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돼지 인플루엔자바이러스(IAV-S), 돼지써코바이러스2형(PCV2), 파스튜렐라 멀토시다균(Pasteurella multocida), 글래서씨병(Hemo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