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유행성설사(PED)는 코로나바이러스로 바이러스성 설사를 일으킨다. 최근 발병이 확연히 줄어든 전염성 위장염(TGE)과는 달리 돼지유행성설사병은 3~4년 주기로 겨울철에 주로 발병하다 최근에는 매해 절기와 상관없이 만성화 경향을 보인다. 모돈군의 갱신으로 인해 면역되지 않은 후보돈이 모돈군으로 편입되고 전체적인 모돈군의 항체 보유 수준이 떨어지게 될 때 다시금 발병되는 패턴을 보였다. 하지만 최근에 유행하는 PED는 임상증상을 기준으로 다양한 수양성 설사의 강도를 보이고 돈군의 면역 수준에 따라 다른 형태의 임상증상을 보이며 유행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봐서는 다양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이 이뤄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뒤에서 소개할 G2b 백신 접종을 해오던 농장에서도 발병이 일어났었다. PED바이러스는 혈청형은 하나이지만 다양한 유전형을 가지고 있듯이 항체 보유 수준에 따라 감염이 이뤄지는 양상을 보인다. 최근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KAHIS : 2024년 10월 기준 255건)에 따르면, 가장 많이 발생한 2022년보다 PED 발병건수가 늘었다. 지난 겨울철에 PED 발병이 심하였던 것을 감안하면 그리 놀라운 사실은 아니지만, 지난 11월 농림축산
제주특별자치도 동물위생시험소는 돼지유행성설사(PED)가 잇따르는 것에 대응해 지난 3월 7일 발생주의보를 발령했다. 제3종 법정 가축전염병인 돼지유행성설사(PED)는 2022년 한림, 대정지역 양돈농가에서 99건 발생해 큰 피해를 준 질병이다. 최근 감소 추세였으나 올해 2월부터 비발생지역(애월)을 포함해 한림지역 등에서 PED 피해가 다수 나타나 이에 대응하는 엄중한 조치로 발생주의보를 발령했다. * ‘24년 PED 발생현황(‘24.3.7. 기준) : 9건(한림 5, 애월 4) PED는 주로 감염돈의 분변을 통해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 시 구토와 수양성 설사 증상을 보이며, 특히 생후 1주령 미만의 새끼돼지에서 높은 폐사율(50~100%)을 보인다. 겨울철과 봄철 환절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최근 우기로 인해 습도가 높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면역 저하로 발생건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동물위생시험소는 양돈농가의 PED 발생 여부를 예의주시하는 한편, 질병진단 검사 의뢰 시 신속․정확한 진단은 물론 역학조사를 통한 질병 전파요인을 파악하고 방역지도를 하고 있다. 또한 학계와 연계해 PED바이러스 유전자 변이 추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