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국제곡물 2023년 3월호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도 흑해지역 곡물 수출이 원활한 결과 국제곡물 선물가격은 2분기까지 보합세로 전망했다. 이에 2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1~20일, 원화 기준)도 166.4로 전월(166.7) 대비 0.1% 하락했다. 또한 사료용 옥수수와 밀 수입단가는 하락하였으나 대미환율 상승으로 곡물가격 하락분이 상쇄됐다. 주요 품목 수입단가 등락률을 보면 옥수수는 1.1% 하락, 대두박은 1.8% 상승, 밀은 3.9% 하락했지만 대미환율은 1,257원/달러로 전월(1,247원) 대비 0.8% 상승했다. 2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에서 밀은 365달러/톤으로 전월(380달러/톤) 대비 3.9% 하락, 옥수수는 333달러/톤으로 전월(336달러/톤) 대비 1.1% 하락, 대두박은 557달러/톤으로 전월(548달러/톤) 대비 1.8% 상승했다. 수입단가 전망에서 1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곡물가격 하락 시기인 2022년 3~4분기에 구매한 물량이 주로 도입되고, 2022년 하반기 대비 대미환율 하락 영향으로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158.6으로 전 분기 대비 10.4% 하락했다. 2분기는 20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국제곡물 12월호에서는 4/4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이 전 분기 대비 하락으로 전망했다. 이는 흑해 곡물 수출계약 연장 합의, 세계 경기 침체와 달러화 강세, 국제유가 전 분기 대비 하락 등으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 원료가격에서 11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141.9로 전월(153.6) 대비 7.6% 하락했다. 이는 배합사료 주원료 수입단가 및 대미환율 하락으로 사료용 옥수수와 밀, 대두박 수입단가는 전월 대비 각각 6.1%, 2.0%, 1.8% 하락하였으며, 대미환율은 1,377원/달러로 전월(1,427원) 대비 3.5% 하락했다. 수입단가 동향에서 11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전월 대비 하락했는데, 밀은 368달러/톤으로 전월(375달러/톤) 대비 2.0% 하락, 옥수수는 342달러/톤으로 전월(364달러/톤) 대비 6.1% 하락, 대두박은 567달러/톤으로 전월(577달러/톤) 대비 1.8% 하락했다. 수입단가 전망에서 4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전 분기 대비 하락 전망했다.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3분기 선물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하락했으며, 2023년 1분기는 국제가격이 하락한 2022년 3~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제곡물 11월호에서 4/4분기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전 분기 대비 하락 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0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1~20일, 원화 기준)는 154.7로 전월(154.8)로 비슷했다. 이는 배합사료 주원료 수입단가는 하락하였으나 대미환율이 상승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사료용 옥수수와 대두박 수입단가는 전월 대비 각각 3.4%, 3.0% 하락했지만 대미환율은 1,425원/달러로 전월(1,392원) 대비 2.4% 상승했다. 또한 지난 10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에서 밀은 372달러/톤으로 전월(372달러/톤)과 같고, 옥수수는 369달러/톤으로 전월(382달러/톤) 대비 3.4% 하락, 대두박은 581달러/톤으로 전월(599달러/톤) 대비 3.0% 하락했다. 2022년 4분기~2023년 1분기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전 분기 대비 하락 전망으로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CIF, 원화기준)는 185.2로 전 분기 대비 3.0% 하락으로 전망했다. 4분기는 흑해 곡물 수출 재개, 달러화 강세와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부진 등으로 3분기 선물가격이 하락하여 4분기 곡물 수입단가는 전 분기 대비 하락 전망이지만 원/달러 환율 상승은 지수 하락폭
조합
도드람, '2025 도드람 페스타 : THE GRILLIST' 팝업스토어 성료
한돈
농식품부, 민관학과 방역관리 강화로 돼지열병·소모성 질병 청정화 박차
기관·단체
축산물품질평가원, 저탄소 인증 축산물 나눔 행사 진행
한돈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 광역울타리, 관리방안 확정
축산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계 최초 케이(K)-반도체 기술로 구제역 현장 진단
한돈팜스 보고서
한돈미래연구소, 2025년 8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2025년 11월 전망 보고서 발표
사료·종돈
농협사료, 축우사료 국내 최대 펠릿 생산성 달성
기관·단체
한돈협회 이기홍 신임 회장, 첫 공식업무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