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사양 농장 생산성 개선을 위한 육성·비육돈 단계의 사양관리 핵심 포인트 / 김근필 박사
최근 시장에서 자돈 판매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자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농장의 수익성과 매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번식성적일 것이다. 일단 많이 낳아야 많이 판다. 번식성적의 문제는 사양관리의 문제보다는 최근 수년간 유행했던 고병원성 PRRS(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나 PED(돼지유행성설사), SIV(돼지인플루엔자)와 같은 번식성적에 치명적인 전염성 질병의 발생이 주원인인 경우가 많다. 요즘 상황을 보면 많이 낳기만 하면 되는 것은 아니다. 이유 후 생산성도 문제이다. 국내 추정 이유 후 육성률이 85%에 그치고 있고 다양한 형태의 피해가 나타난다. 이러한 질풍노도의 시기를 지나 육성돈과 비육돈 구간에서는 한숨 돌릴 수 있는 상황이 된다. 농장 재고두수를 파악하면 향후 5~6개월간 대략적인 비육돈 판매수 추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육성·비육돈(이하 비육돈) 구간의 돼지들은 신경을 덜 써도 알아서 커 출하된다고 생각한다. 실제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얼마나 신경을 쓰고 실천하는가에 따라 결과물이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판매할 돼지의 숫자는 정해진 현 상황에서 지금 농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돈을 벌어주는 돼지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