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4년 한돈산업 동향 (1) 사육 동향 2024년 9월 돼지 전체 사육마릿수는 전년(1,225만1천마리) 수준인 1,225만4천마리였다. 모돈 사육마릿수는 전년(96만8천마리) 대비 1.1% 감소한 95만7천마리였으나, 자돈 사육마릿수는 전년(403만4천마리) 대비 1.7% 증가한 410만4천마리였다. 육성돈 사육마릿수는 전년(357만3천마리) 수준인 357만7천마리였고, 비육돈 사육마릿수는 전년(355만5천마리) 대비 1.7% 감소한 349만6천마리였다. 2024년 전체 돼지 사육마릿수는 전년(1,199만8천마리)과 비슷한 수준인 1,197만6천마리 내외로 추정된다. 모돈 사육마릿수는 전년(97만1천마리)보다 소폭 감소한 96만4천마리 내외로 추정되지만, 생산성이 향상되어 모돈을 제외한 비육돈(자돈, 육성돈, 비육돈) 사육마릿수는 전년(1,090만4천마리) 수준인 1,088만9천마리 내외로 추정된다. (2) 도축 동향 2024년 상반기 누적 도축마릿수는 전년(937만6천마리) 대비 2.8% 증가한 964만3천마리였으나 하반기 누적 도축마릿수는 전년(937만8천마리) 대비 1.1% 감소한 927만8천마리였다. 하반기 도축마릿수 감소는 올해 여름 이례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에서 발표한 축산관측동향(돼지) 2024년 9월호 내용을 소개한다.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축산관측동향 2024년 9월호】
원고를 쓰고 있는 12월 초, 2023년이 지나 곧 청룡해인 2024년이 다가오고 있다. 2023년은 1월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African Swine Fever)이 발생하였으며, 피해 규모도 2019년 이후 가장 많았다. 게다가 2022년 러·우크라이나 사태 이후의 배합사료 가격 상승 및 전기료, 인건비 인상 등으로 농가의 생산비 부담은 여전히 컸으며, 폭우·폭염과 같은 이상기상에 따른 가축 폐사가 발생하는 등 사육 여건은 2019년 이후 “최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지속되어온 농가의 생산성 향상 노력이 결실을 보듯 모돈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전체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출하 마릿수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부터 나타난 경기침체에 의한 선호부위 재고량 증가세가 2023년에도 이어지고 있어 소비는 좀처럼 살아나질 않아 가격이 낮게 책정되면서 생산성 향상에 관한 결과가 산업적으로는 득보다 실이 더 많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2023년 수급 상황을 검토하고, 2024년의 한돈산업을 전망하여 향후 한돈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안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모색해보고자 한다. 1.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