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봄철 양돈장에서 대비해야 할 1년 사양관리 : 여름 대비가 1년을 좌우한다. / 박지형 수의사
1. 시작하며 몇 년 전부터 봄여어어어어름갈겨어어어어울봄 이란 단어를 인터넷에서 많이 보게 되었다. 이는 짧은 봄·가을과 유난히 길고 힘든 여름·겨울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2024년은 유난히도 더웠다. 그러다 갑자기 엄청나게 추워졌다. 지나친 환경변화는 체력적으로 사람에게도 동물에게도 악영향을 끼친다. 지난여름 무더위로 주변의 많은 농가가 피해를 봤다. 그중 일부 농가는 임신사 무더위로 수태율 감소, 복중 태아수 감소, 분만 후 포유량 감소, 그리고 그것에 이어지는 자돈 면역력 저하 및 증체 저하 후 발생한 다양한 질병, 폐사율 증가 등으로 약 6개월간 생산성적의 저하가 심각했었다. 그리고 여름이 지나서 교배된 개체들이 출산하기 시작한 시점이 되어서야 생산성적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되어가고 있었다. 2024년은 인류가 앞으로 겪을 여름 중 가장 시원한 여름이라고 했다. 이는 앞으로 매년 무더위가 더 심각하게 기승을 할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실제로 필자가 글을 작성하고 있던 지난 3월 2일 기준 강원도는 -6℃, 전북 완주는 23℃라는 약 30℃의 온도 차이를 보인다. 2025년 겨울도 유난히 눈이 많고 추웠는데, 4월이면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