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특정 병원체들은 계절성을 띤다. 병원체마다 다르긴 하지만 세균성 질병의 경우 상대적으로 세균이 증식하는데 필요한 온도와 습도가 갖춰지는 여름철에 문제를 일으키며, 바이러스성 질병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온과 습도가 낮아지는 겨울철에 더 쉽게 전파된다. 바이러스성 질병 중에는 특히 농장에 큰 피해를 주는 PRRS와 PED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2. 겨울철에 문제 되기 쉬운 바이러스성 질병 (그림 1)은 미국에서 2009년부터 2024년까지 주요 PRRS 발병 케이스들을 나열해 놓은 그래프이다. 연도별로 대부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는 10월에서 11월에 가장 PRRS 발병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PED도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KAHIS)에 2023년도에 신고된 케이스를 확인해 보면 2023년 총 103개 농장 발병 중 57%가 온도가 낮은 1~3월에 집중된 것을 볼 수 있다. 3. 겨울철 질병관리 점검 및 개선 포인트 이런 질병들이 문제 되지 않도록 사전에 관리할 수 있는 조치는 크게 2가지로 차단방역과 환경관리에 집중하여야 하며, 세부 사항으로는 ①차단방역-백신접종, ②차단방역-소독, ③환경관리-온도
1. 들어가며 여전히 덥다. 그래도 한여름 무더위는 지나가며 여름이 끝나가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그럼에도 고삐를 늦출 수 없는 것이 양돈업의 숙명이 아닌가 싶다. 이제부터는 더위를 잘 견뎌준 돼지와 함께 환절기를 이겨내야 한다. 질병은 크게 환경, 병원체, 숙주 이렇게 3가지 요소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중 요소별(환경, 병원체) 환절기에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2. 환절기 대비 돼지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조치사항들 (1) 환경 : 일교차가 커지는 밤에 대한 대비 / 낮의 길이 변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처서가 지남에도 여전히 낮에는 덥기는 하지만 밤의 온도는 낮아지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여름을 지나며 체력을 많이 뺏긴 돼지들이 쉽게 호흡기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우선 필요한 것은 환기관리이다. ① 환기관리 : 중계휀 관리 이제 돈사 온도가 25℃ 이하로 내려갈 수 있는 밤에는 그동안 활용하던 중계휀이 꺼질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 중계휀이 물려 있는 휀의 편차를 3으로 설정하여 최저 온도를 25℃, 가동량을 0%부터로 설정하여 25℃ 밑으로 돈사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에는 중계휀이 작동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