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가축분뇨처리 지원 공모사업에서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은 238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남도가 공모사업에서 확보한 사업비는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 고흥군 150억원,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개보수 무안군·장성군 22억원, 축산 악취개선 사업 순천시·나주시·함평군·무안군·장성군 66억원이다.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은 가축분뇨 등을 1일 150톤 처리해 고체연료, 바이오차 등 에너지화 및 펠렛형 퇴비를 생산하는 사업이다. 2026년 완공을 목표로 150억원이 투입되고, 가축분뇨를 다양하게 활용해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및 신재생에너지 이용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개보수는 무안군 15억원, 장성군 7억원 등 22억원을 투입해 정화 처리, 악취방지시설 설치 등 퇴·액비 자원화시설의 처리효율을 개선한다. 축산악취개선 사업은 순천시 15억원, 나주시 18억원, 함평군 7억원, 무안군 11억원, 장성군 15억원 등 66억원이 지원된다. 축산농가에서 필요한 퇴비사, 정화방류시설, 악취저감시설 등에 많은 사업비가 투입됨에 따라 가축분뇨를 적정 처리하고 축산악취를 저감하는 등 가축 분뇨 처리 문제가 크게 개선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전라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주관한 ‘가축분뇨 공동자원화(고체연료·바이오차)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46억원을 확보했다. 이에 전국 최초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을 통해 그간 퇴비화 중심으로 처리해오던 가축분뇨를 고체연료와 바이오차 생산으로 전환해 처리할 계획이다. 고체연료는 가축분의 수분을 없애 석탄이나 장작처럼 고체로 만든 연료화 생산물을 말한다. 바이오차는 Biomass+Charcoal의 합성어로 바이오매스를 350℃ 이상의 온도에서 산소가 없는 조건으로 열분해하여 만들어진 고체 탄화 물질이다. 가축분뇨는 전북도 ’21년 기준 연간 9백만톤이 발생하고 있다. 가축 사육두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량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가축분뇨에 대한 퇴비화 처리 외 에너지화, 정화 방류 등 다각도 처리 방법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 가축분뇨량(단위 천톤) : (`17 6,828)→(`18 6,901)→('19 7,025)→('20 8,056)→(’21 9,012)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생산되는 가축분뇨를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원 고체연료는 제철소에 납품될 계획이다. 화석연료 대신 연료로 활용되어 석탄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경상남도는 지난 12월 14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지역균형 뉴딜사업인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에너지화) 사업에 고성군이 선정되어 국비 61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사업자로 선정된 고성군 소가야스마트팜영농조합법인은 축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인 악취, 가축질병, 생산성 저하를 해결하고자 ICT를 이용한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사업을 2020년부터 추진 중이다. 이와 연계한 가축분뇨 에너지화 건립은 산성마을 양돈농가 10개소가 참여하여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총사업비 122억원으로 1일 가축분뇨 150톤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이다.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가축분뇨처리지원사업을 개편하여 가축분뇨에너지화사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공동자원화사업은 공익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사업 지연·포기 사례*가 증가하여 집행 부진으로 이어지는 등 사업 개편 필요성이 지속해서 제기되어 왔다. * 주민 반대로 인해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34개소 사업 포기('07년부터 현재까지) 또한 기존 퇴·액비화 중심의 자원화 정책은 토양 양분 과잉을 유발하는 등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며, 축산분야 온실가스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상황에서 가축분뇨를 활용한 에너지화* 등 신재생에너지 활동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 에너지화시설 1개소(100톤/일) 설치 시 연간 원유 대체 2억원, 1,550톤 CO2 감축 효과(‘19, 서울대) 농식품부는 공동자원화시설사업을 퇴·액비화 처리 위주에서 정화처리, 바이오차, 고체연료, 바이오가스 등 가축분뇨 처리방식의 다양화를 추진했으며, 그동안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에 걸림돌로 제기된 지역 주민 수용성 확보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2022년 공동자원화시설사업을 대폭 개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