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신청”을 2월 14일 공고하고, 3월 2일부터 3월 16일까지 신청서를 접수한다.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결과로 제조된 제품의 혁신성ㆍ공공성이 인정될 경우 혁신제품으로 지정하여 수의계약, 시범구매 등 공공 조달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3년간 조달청 혁신장터에 등록 후 정부 부처, 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공공조달 시 수의계약 및 ‘혁신제품 구매목표제’*의 대상이 되어 초기 판로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혁신구매목표제도는 기관별 물품 구매액의 1%를 혁신제품 구매 등에 활용하고 평가하는 제도 (’20년 도입) 최근 5년 이내(2017.1.1.∼신청일) 완료된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중 완료기술을 사업화한 제품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제품에 대한 심사는 ①발표평가 → ②현장평가 → ③종합심사의 총 3단계로 이루어지며, 심사 결과 혁신성·공공성이 인정된 제품은 조달정책심의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혁신제품으로 지정된다. 신청을 원하는 기업은 3월 2일부터 3월 16일까지 농식품연구개발사업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이 혁신성·공공성이 인정되는 경우 공공조달의 수의계약 등 혜택이 제공되는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신청’을 지난 9월 13일부터 공고하고 9월 28일부터 10월 12일까지 신청서를 접수한다. 농식품부는 제도 시행을 위해 그간 기획재정부, 조달청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농림축산식품부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지침’을 마련(2021.8.26)하였고 이를 근거로 농식품 분야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 공모를 처음으로 시행한다.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3년간 조달청 혁신장터에 등록되며 정부부처, 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공공조달 시 ‘혁신제품 구매목표제‘*의 대상이 된다. * 혁신구매목표제도는 기관별 물품 구매액의 1%를 혁신제품 구매 등에 활용하고, 평가하는 제도로 2020년 최초 도입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관련 업무를 위임받아 수행하는데, 지정절차는 서류검토 → 조달적합성 검토 → 발표평가 → 현장평가 → 종합심사 → 심의예정공고 → 조달정책심의위원회 → 지정확정 및 인증서 발급/혁신장터 등록순이다. 최근 5년 이내(2016.1.1~) 농식품 연구개발사업을
조합
도드람, '2025 도드람 페스타 : THE GRILLIST' 팝업스토어 성료
한돈
농식품부, 민관학과 방역관리 강화로 돼지열병·소모성 질병 청정화 박차
기관·단체
축산물품질평가원, 저탄소 인증 축산물 나눔 행사 진행
한돈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 광역울타리, 관리방안 확정
축산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계 최초 케이(K)-반도체 기술로 구제역 현장 진단
한돈팜스 보고서
한돈미래연구소, 2025년 8월 한돈팜스 전산성적 보고서 및 2025년 11월 전망 보고서 발표
사료·종돈
농협사료, 축우사료 국내 최대 펠릿 생산성 달성
기관·단체
한돈협회 이기홍 신임 회장, 첫 공식업무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