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유난히도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있다. 이번 여름 더위도 무척이나 힘들 것이라 여겨졌지만, 농가들은 생각보다 차분히 여름을 견뎌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고비를 넘겼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 양돈산업은 본래 변동성이 크고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사료비 등 주요 생산비는 여전히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매년 어김없이 찾아오는 환절기가 시작되면서 농가들의 걱정도 다시금 깊어지고 있다. 특히 어린 자돈은 환경 변화에 민감해서 한 마리라도 기침하기 시작하면 금세 돈군 전체의 성장이 눈에 띄게 더뎌지기 마련이다. 환절기가 다가오면서 농가들은 새어나가는 생산비를 줄이고, 자돈의 초기 건강과 사양 환경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다시금 바빠질 것으로 생각된다. 2. 생산성 저하 원인 양돈농가에게는 ‘가을’이라는 계절보다 ‘환절기’라는 표현이 더 익숙하다. 아침에는 겨울처럼 쌀쌀하다가도 낮에는 한여름처럼 더운 날씨가 반복되면서, 온도에 민감한 돼지에게는 상당히 까다로운 시기가 된다. 실제로 환절기가 시작되면 일교차가 10℃에 달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우리는 흔히 더운 여름이 지나가면 고비를 넘겼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 여파가 가을철 자돈의
1. 머리말 숨 막히는 여름이 끝나기도 전에 양돈장들은 이제 더 험난한 겨울 피해의 큰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 열대야 평균 일수가 20.2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유난히 더웠던 한 해였지만, 겨울이 다가오면서 또 다른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올겨울 영하 18℃까지 내려갈 것이라는 한파 경고는 마치 초겨울부터 다가올 시련을 예고하는 듯하다. 게다가 이제 농가들은 봄과 가을의 짧아짐을 체감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긴 여름과 겨울은 농장 생산성에 타격을 주기 쉽고, 특히 겨울철에는 냉해와 같은 악조건으로 인해 사양관리가 매우 까다로워진다. 그러나 유비무환(有備無患)이라는 말처럼 미리 준비하고 대비하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다가오는 겨울철 철저한 준비가 없다면 농장의 전반적인 생산성을 좌우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고에서 겨울철 양돈장 생산성을 위협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효과적인 사양관리 전략을 다룰 것이다. 2. 겨울철 포유자돈 생산성 저하 요인 양돈장에 있어서 겨울은 춥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다양한 병원체가 살아남기 좋은 환경이 된다.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항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