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사양 한돈미디어 22년 11월호, 농가의 생산비를 줄이는 효율적인 사료요구율(FCR) 점검·개선 방안 및 실천 사항 / 홍석만 실장
2021년 초 기상악화(라니냐)의 영향으로 남미의 주곡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이 시작되었고,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요인으로 사상 유례없는 곡물가 상승으로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어려운 국제 정세의 영향으로 높은 환율을 유지하고 있다. 향후 국제 곡물시장은 생산국의 작황 외에도 광범위한 거시 경제 요인으로 인한 위기 발생 가능성을 상시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심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배합사료 원료 중 95% 이상을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국제 곡물가의 상승은 사료값의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양돈농가들은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렇다면 양돈농가 입장에서 생산비 상승에 대한 대책으로 적절한 방안이 무엇일까? “Back to the Basic(기본으로 돌아가라)” 초심으로 돌아가서 내 농장에 대한 개선사항을 강구해야 할 것이며, 생산비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사료요구율(FCR) 개선이다. 본고에서는 양돈농가의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생산비를 줄이는 효율적인 사료요구율(FCR) 점검·개선 방안 및 실천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사료요구율에 미치는 영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