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면서 가축 생산에서 바이러스와 병원성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은 생산성을 상당히 하락시키고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큰 어려움이다. 따라서 농장에서는 다양하고 위험한 바이러스와 병원성균을 통제하고 처치하려는 전략에 관심이 많다.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병원성균을 억제하기 위해 사료나 음수를 통해 항균력이 있는 물질의 예방적 사용이다. 지금까지 보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항생제인데, 항생제 내생균의 등장으로 미국에서는 FDA에 의하여 수의약품 사용지침(VFD)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렇게 더 현명한 항생제 사용이 되도록 정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항바이러스 제제로 개발된 아만타딘이 가축 농장에서 질병 예방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 약품에 대한 내성종의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포름알데하이드 같은 물질도 바이러스와 세균 억제용으로 사용되었는데 발암성 문제로 인하여 사료 원료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처럼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억제 효과가 있고, 안전하며, 내성이 없는 물질에 찾으려는 노력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 가지 이상적인 방법은 병원성 바이러스와 세균의 지질 외막을 타깃으로 하는 것이며, 최근 인체 대상 항바이러스 약물
농협사료 군산바이오(대표 박근하)는 지난 4월 16일 중국 인텍(INTECH)사와의 중국 수출을 위한 실무협의회를 통해 생균제 제품의 규격 및 수출 일정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군산바이오는 2015년부터 중국 인텍사에 생균제를 공급해왔으며, 최근 몇 년간 중국 경기 침체와 같은 어려운 사업 환경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수출 확대 노력을 통해 10년 연속 수출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특히 지난 2019년부터 중국에서 사료 내 항생제 사용이 일부 제한된 상황에서 군산바이오에서 추출하는 생균제는 소화 촉진과 설사 예방 효과를 가진 균주의 맞춤형 제품으로서 중국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군산바이오 박근하 장장은 "지난 10년간 지속된 수출은 우리의 시장 개발 노력이 결실 보았음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장 및 물량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 말했다. 한편 농협사료 군산바이오는 지난 4월 29일 올해 첫 중국 수출과 동시에 이를 기념하는 행사를 했다.
▲엔테로플러스 ▲엔테로믹스 한국썸벧(주)(대표 김달중)은 지난해 돼지 설사에 효과적인 기능성 아포 생균제 ‘엔테로플러스·엔테로믹스’를 출시했다. ‘엔테로플러스·엔테로믹스’는 아포 생균제로 고온과 위산에서도 생존력이 뛰어나고 다수의 생균이 장관 내에 도달하여 장관면역을 증진한다. 장을 안정화해 설사, 연변 발생을 줄이고 소화를 촉진한다. 또한 녹차 추출물이 함유되어 바이러스에 의한 설사 발생을 억제하며, 특히 자돈 설사가 문제 되는 농장에 매우 효과적이다고 담당자는 말했다. ‘엔테로플러스·엔테로믹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아포와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녹차 추출물을 첨가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로 인한 돼지의 설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이다. ‘엔테로플러스·엔테로믹스’의 권장 투여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한국썸벧은 ‘엔테로플러스·엔테로믹스’의 국내 농장 시험 결과 자돈 설사가 빠르게 종식되는 것을 확인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아포 생균의 입증된 효과를 보더라도 높은 생존능력과 아포 생균이 소장에 쉽고 빠르게 많이 도달하고 신속하게 증식됨을 알고 있다. 또한 증식 과정에서 소화효소, 항균물질, 비타민, 아미노산 등의 유익한 물질을 분비해 면역력 증대,
1. 포스트 코로나19 기대 컸지만, 내수 ‘정체’ 수출 ‘침체’ … 원료 부진에 수출 30% 하락 … 백신 등 완제품 ‘고부가가치 실속’ 지난 십여 년을 돌이켜보면 우리나라 동물약품산업은 수출이 이끌어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내수시장은 정체 또는 소폭 성장에 머물렀지만, 동물약품 수출은 매년 5%가량 급속 성장해왔다. 수출은 성장동력이 됐다. 지난해(2022년)도 그랬다. 지난해 동물약품 수출액은 3억6천700만불(한화 4천752억원)로 한화로는 전년(2021년) 대비 12% 늘었다. 업계는 올해(2023년)에도 충분히 그 기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믿었다. 더욱이 코로나19 상황이 걷히면서 더 치고 올라갈 것이라고 기대했다. 4억불 수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의 수출 확대 정책 역시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에 힘을 보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7년까지 ‘수출 6억불 달성, 수출 비중 60%’라는 목표를 내걸었다. 그리고 ▲수출품목 다변화 기반 마련 및 지원 강화, ▲해외 수출시장 개척, ▲산업육성 인프라 구축, ▲관리제도 선진화 등 추진전략을 알렸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세계적 경기 침체 속 경쟁이 심화하며 내리막길을 걸었다. 올 상반기까지
예전에 필자가 덴마크에서 양돈연수교육을 받을 때 양돈 선진국인 덴마크에서도 양돈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왜냐하면 필자는 덴마크 양돈의 높은 생산성의 비밀을 알려고 갔는데, 첫 시간 강의는 대부분 양돈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교육이었다. 첫 시간에 교육한 내용은 덴마크에서 지속 가능한 양돈업을 위해서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인 비용을 고려하여 사회적, 환경적 책임을 만족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 종돈, 방역, 돈군 위생, 영양, 시설. 교육 등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교육 당시에도 그렇고, 지금도 필자는 여기에 100% 동의한다. 그리고 우리의 양돈업이 지속할 수 있기 위해서도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인 책임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양돈업이 지속하려면? 한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다들 알 것이다. 생산성, 돈육품질, 환경관리, 인력관리, 해외 악성 질병 등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현장 컨설턴트로서 위 내용 중에서 돈육 품질과 관련한 항생제 사용과 이상육 발생·엉덩이 주사, 농장의 방역에 관해서 얘기해 보려고 한다. 1 항생제 사용량 가축에 대한 항생제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201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지난 2월 23일 전국 16개 동물위생시험소 업무 담당자 약 35명을 대상으로 ‘축산분야 항생제 내성균 감시체계 구축’ 사업 교육을 온라인 영상회의로 하였다. 이날 영상회의에서 검역본부는 지난해 사업 평가를 통해 검사 실적이 부진한 가축 병원성 세균 및 식중독 세균의 개선된 검사방법을 교육하였으며, 본 사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22년도 세부 수행지침 및 추진 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현행 검역본부에서만 실시하고 있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대하여 항생제 오남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지자체에서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동물병원에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는 검사 체계 변경(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윤순식 세균질병과장은 “국내외 보건 안보를 위협하는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정확한 내성 현황 파악이 우선되어야 하며, 본 사업 결과가 축산분야 항생제 내성 관리를 위해 정책 평가 및 대책을 수립할 뿐만 아니라 동물병원과 축산농가 등 현장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2020년도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과 내성률에 대해 공동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를 담은 ‘2020년도 국가 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동물·축산물)’을 발간했다. * ① 검역본부는 ‘국내 가축 및 도축장 도체’, ② 식약처는 ‘유통 축산물’을 각각 조사‧분석 조사 결과 2020년 전체 항생제 판매량(추정치 736톤)은 2019년(745톤)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항생제 배합사료 첨가 금지(’11.7월) 후 지속해서 판매량이 감소한 일부 항생제의 내성률은 낮아졌지만, 판매량이 늘어난 항생제의 경우 항생제 내성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항생제 내성률 : 분리된 세균 중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의 비율 참고로 양 기관은 2013년부터 매년 △축산용 항생제 판매량(한국동물약품협회), △가축, 도체, 유통 축산물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 현황을 공동으로 파악하여 그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항생제 내성균은 가축에 대한 항생제 오남용으로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과 환경에 의해서도 직·간접적으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축산물의 가공·유통·조리 과정에서 손 씻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