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하반기 양돈시장 전망 및 한돈인으로서의 부탁(한돈미디어 23년 9월호) / 최병식 팀장
1. 들어가며 올해 여름은 예년보다 더 덥게만 느껴진다. 열대야라는 말이 이제는 일상이 되었고, 더위를 피하는 방법이 그리 쉽게 떠 오르지 않는다. 한 20여년 전 여름철 성수기 대목으로 휴가도 없이 생산된 제품(삼겹살)을 할당하여 판매하던 때를 생각하면 그런 바쁨과 즐거움이 더위를 피하는 방법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현재 시장은 연중 휴가 개념으로 여름 휴가철 성수기라는 말이 사라졌고, 코로나 이후, 해외여행 증가로 그나마 명맥을 유지했던 여름 특수는 아예 자취를 감췄다. 대형 유통업체들은 전통적으로 해 오던 바캉스 세일을 역마진으로 진행하며 가뜩이나 힘든 한돈 가공업체의 상황을 어렵게 만든다. 그래도 지속되어야 하는 사업이기에 2023년 남은 기간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현재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양돈시장 현황을 잠깐 짚어보고 남은 기간 전망을 조심스럽게 알아보려고 한다. 2. 코로나 시기와 다른 한돈 유통시장 현황 코로나가 시작될 무렵 많은 사람이 시장 침체와 소비 부진으로 한돈산업의 몰락을 두려워했다. 그러나 가정 내 소비 증가와 수입 돈육의 수급 불안으로 반대 상황이 한돈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2019년 하반기 잠깐의 양돈시세 하락과 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