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의 생산성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번식돈과 이유 전 포유자돈의 질병관리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생산성 지표에 대해 살펴보자. 우선 생산성 지표를 살펴야 내 농장의 숫자와 무엇이 다른지 알 수 있고, 개선 포인트를 도출할 수 있어 질병관리를 통해 숫자가 개선될 수 있는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1) 모돈 폐사율 모돈 폐사율은 0.5%를 정상범위로 보고 있다. 목표 : 연간 0.5% 이하, 연간 폐사모돈수/상시모돈수×100, 특히 더위로 여름 폐사가 급증하는 경우가 있다. 부검을 통해 살펴보면 일부는 폐사 원인을 확인할 수 있는데, ‘위출혈’, ‘자궁출혈’, ‘방광염’, ‘질식사’ 등을 확인했다. ‘위출혈’은 더위와 사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봐야 한다. 배기휀이나 입기구를 추가하거나 개선하는 등 입배기를 원활하게 하여 환기를 개선하는 것이 첫 번째이고, 냉방은 원활한 환기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범위에서 가동할 수 있어야 한다. 사료는 미분이 많거나 가공사료(인스펜딩 옥수수, 펠릿, 크럼블 등)은 위출혈에 소인이 되니 문제가 발생하는 농장에서는 사용을 권하지 않는다. ‘자궁출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난산으로 입수할 때
무더운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모돈은 면역력이 떨어지고, 다음으로 다가오는 환절기에 높은 일교차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면역력 저하, 높은 일교차 등으로 환절기에 취약해진 모돈을 관리하는 것은 농장 경영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모돈은 자돈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며, 자돈 생산은 돼지를 키움에 있어 바로 첫걸음이라 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모돈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환절기 모돈의 질병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모돈에서의 주요 질병 양돈농가를 괴롭히는 주요 호흡기 질병으로는 PRRS, PCV2, 마이코플라즈마, 흉막폐렴, 글래서병, 파스튜렐라, 돼지인플루엔자 등이 있다. PRRS가 문제가 될 경우 모돈이 흔들릴 뿐만 아니라 PRRS에 감염된 돼지가 태어나 자돈 성장률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PRRS 백신은 모돈 백신 프로그램에 포함하여 분기별로 일괄 접종을 해주는 것이 좋다. 다만 농장 내 PRRS 상황을 알고 접종해야 하므로 필요 시 혈청 검사 등 농장 PRRS 상황에 맞게 조정하도록 하자. PCV2의 경우 모돈에 큰 피해는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가끔 문제가 될 수 있다. 농장에서는 필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