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레에듀팜(대표 이정대)은 지난 9월 26일 제주양돈농협 조합원들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장 자동화(ICT, 스마트팜) 교육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정대 대표는 무인 양돈장(비육사) 운영 경험을 공유하며, 향후 양돈업계의 자동화 기술 도입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이정대 대표는 “앞으로 양돈장도 자동화 기술을 접목해 부업 형태로도 운영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한 가운데 “농장 자동화에 관심 있는 농가들을 위한 교육의 장을 지속해서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전국양돈조합장협의회(회장 고권진, 제주양돈농협 조합장) 소속 대구경북양돈농협(조합장 이상용),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박광욱), 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 서울경기양돈농협(조합장 이정배), 제주양돈농협(조합장 고권진) 등 5개 조합이 최근 대한한돈협회에 한돈산업 발전기금으로 각 1천만원씩 총 5천만원을 기탁했다. 고권진 전국양돈조합장협의회장은 기금을 전달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는 시기일수록 한돈 생산자들의 구심점인 대한한돈협회가 건전한 한돈산업 환경 조성에 더욱 힘써주길 바란다”며 “협회와 조합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돈산업 발전의 초석을 더욱 굳건히 다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손세희 한돈협회 회장은 “최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경기침체, 소비부진 등 한돈산업이 직면한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해 귀중한 기금을 기탁해 주신 각 조합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며 “이번 기금 기탁은 한돈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앞으로도 협회와 양돈조합이 산업의 쌍두마차로서 함께 전진하자”며 “이번에 기탁된 기금을 한돈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농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미 있게 사용하겠다”고
전남 청년한돈인 분과위원회(위원장 오양호)는 지난 11월 21일부터 23일까지 제주에서 2박 3일간의 직무 역량강화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한돈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혁신을 주제로 전문가 교육과 현장 견학을 통해 참가자들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워크숍의 첫 번째 주제는 양돈장 악취관리 방안에 대한 교육이었다. 참가자들은 제주양돈농협에서 운영 중인 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을 견학하며, 양돈장의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최신 기술과 관리 전략을 배웠다. 이 공장은 혁신적인 방법으로 환경 오염을 줄이고, 지역사회와 한돈산업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가축분뇨 처리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었다. 이어 참가자들은 제주의 유명한 흑돼지 고기 전문 한돈인증점인 숙성도를 방문했다. 숙성도 대표 송민규(2023 한돈명예홍보대사)는 음식점 운영의 노하우와 한돈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를 공유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한돈의 품질 향상과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오양호 위원장은 "이번 워크숍은 참가자들에게 한돈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직무 역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대한한돈협회 손세희 회장이 지난 2월 28일 오후 제주시 한림읍에 위치한 제주양돈농협 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에 방문, 고권진 제주양돈농협 조합장, 김재우 제주도협의회장을 비롯한 제주지역 한돈농가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제주양돈농협 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은 축산업의 안정적인 발전과 가축분뇨 자원화 촉진을 통해 자연순환 농업 활성화와 수질·토양 등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가축분뇨를 호기성 발효를 통해 액비를 만들고 역삼투압 처리방식으로 재이용수로 생산하고 있다. 손세희 회장은 “제주양돈농협 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이 가축분뇨 처리 문제로 고심하는 제주지역 한돈농가에 큰 희망과 비전을 주고 있다. 특히 제주 1일 가축분뇨 발생량 4,000톤 중 10%를 제주양돈농협 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에서 처리한다고 하니 굉장히 고무적이다”며 한돈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해 주신 제주양돈농협에 감사를 표했다. 이에 고권진 제주양돈농협 조합장은 “제주도 분위기가 많이 변했다. 농장 스스로 환경에 대한 인식이 많이 변했으며, 농장 개선을 위해 많은 고민과 실천을 해오고 있다. 그 일환이 제주양돈농협의 가축분뇨공동자원화공장이라 보며, 300톤 규모의 자원화 시설을 농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