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양돈 스마트파밍 시스템 적용 필요성 및 미래 전망(한돈미디어 23년 10월호) / 함영화 대표
국내외의 양돈산업은 현재 돼지고기 가격 불안뿐만 아니라 환경관리 부담, 동물복지 요구 및 질병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탄소저감 대책 및 대체육과의 경쟁 가능성까지 논의되고 있다. 다양한 문제를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양돈산업의 방향으로 규모화와 다양화의 상반된 듯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규모화는 동일한 품종 및 생산방식으로 생산규모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단일품종 대량생산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다양화는 돼지의 품종, 생산방식 및 가공 과정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1. 국내 양돈분야의 스마트팜 필요성 두 가지 경우 모두 스마트파밍 시스템이 필요한 것은 규모화의 방향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관리비용 절감을 위해 자동화 설비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화의 방향에서는 차별화된 생산-가공-유통시스템을 소비자에게 공유하기 위해서는 생산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근 유럽지역에서는 다양한 스마트팜 장비의 도입이 국내보다는 쉽게 관리업무에 적용되고 장비 운영을 위한 데이터 입력과 활용에 어려움을 겪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양돈 생산성이 높은 네덜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