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자의 90% 이상이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있으며, 축산물 생산 과정에서 적극적인 탄소 배출 감축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축산데이터가 지난 5월 16일부터 6월 16일까지 한 달간 자사 프리미엄 축산물 마켓 굴리점퍼 이용자 304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가 축산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소비자의 94%가 ‘기후변화를 체감한다’고 답했다. 93%는 '축산물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답했다. 소비자 대다수가 축산업과 기후변화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며 이에 따라 환경 보호를 위한 가치소비 의지도 높았다. 응답자 72%가 '축산업이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저탄소∙무항생제 축산물 확대가 가치소비를 통한 기후위기 대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응답자 80%가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응답은 17%로 뒤를 이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저탄소∙무항생제 축산물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55%가 ‘매우 높다’ 또는 ‘높다’고 답했다. ‘낮은 편이다’ 또는 ‘매
필자는 본고를 통해 2024년 양돈농가가 향후 펼쳐질 도전을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해서 계획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첫 번째 : 농장의 생산성 개선 모든 분야가 마찬가지지만 하위는 도태되고 상위는 생존한다. 상위농가는 저수익 시기에는 생존능력이 강하고 고수익 시기가 왔을 때 이익을 거둘 수 있다.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몇 가지 팁을 살펴보면 ①직원과의 소통강화, ②환기 등의 시설에러 개선, ③질병 컨트롤, ④충분한 모돈 갱신, ⑤고능력 종돈 도입 등이다. (1) 직원과의 소통강화 경영주나 관리책임자의 생각이 직원과 잘 공유되어야 생산성 개선이 가능하다. 경영주나 관리책임자가 아니라 현장 관리자가 돼지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현장 관리자의 손에 많은 부분 생산성이 달려있다. 물론 현장에서 현장 관리자를 대면하여 소통하는 것도 중요하고, 부가적으로 ‘칠판’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 환기 등의 시설에러 개선 환기 등의 시설에러가 결정적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다양하다. 환기 등의 시설에러는 개선을 해두어야 여러 원인 중 환기시설을 제외하고 접근할 수 있어서 원인 파악이 쉬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충청북도는 지난 1월 5일 올해 축수산업의 정책과제를 ‘지속 가능한 저탄소 축․수산업 실현’으로 선정하고 4개 분야 95개 사업에 861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 국비 213억원, 도비 95억원, 시군비 239억원, 융자 164억원, 자담 150억원 충북도는 지속 가능한 축수산업 실현을 위해 △저탄소 스마트 축산환경 조성 확대, △자연과 환경이 조화되는 청정축산업 기반 강화, △미래 성장기반산업 확충 및 동물복지 문화 정착, △내수면어업 경쟁력 강화 기반구축 등 4개 분야를 중점 추진한다. 먼저 저탄소 스마트 축산환경 조성 확대 분야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고품질 축산물 생산기반 조성 및 스마트 축산 보급 확대를 위해 축산 ICT 융복합사업(100억원), 축사시설 현대화(63억원), 가축재해보험(80억원)을 지원한다. 둘째, 깨끗한 축산농장 90호를 신규 지정해 기존 지정 농가 360호를 포함해 총 450호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악취 민원이 많은 마을 또는 읍면을 광역단위로 묶어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축산악취개선에 42억원을 지원한다. 셋째, 미래 성장 기반사업 확충 및 동물복지 문화 정착을 위해 낙농․양돈․사슴․염소 개량(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