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자돈의 장 건강 유지에 관여하는 면역세포와 연관된 유용 미생물 6종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용 미생물 6종은 자돈의 장 면역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후보 미생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진은 국내 자돈의 장관 면역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 자돈 24두 소장에 존재하는 조절 T세포를 분리해 세포수를 측정했다. 이어 장 내용물에 존재하는 미생물군의 유전자를 활용해 풍부도*를 분석했다. * 특정 환경에서 각 미생물이 존재하는 양 또는 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율 조절 티(T)세포의 양과 미생물의 풍부도간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성 높은 미생물군 6종(Romboutsia, Bacteroides, Terrisporobacter, Rothia, Ruminococcus, Muribaculaceae)을 확인했다. 이 가운데 Romboutsia, Bacteroides, Rothia, Muribaculaceae는 기존 연구에서 동물의 면역과 연관돼 있으며, 항염증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자돈은 출생 후 면역체계가 미숙해 모돈의 모유를 통해 간접적으로 면역 물질을 공급받아 외부의 질병에 대항한다. 젖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자돈의 분변에서 추출한 유전체 정보를 활용해 성장 능력을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미생물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장내 미생물은 돼지의 장관에 공생하면서 창자 안의 면역세포 발달과 난소화성 섬유질을 분해해 돼지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연구진은 일당 증체량이 많이 나가는 자돈 집단과 적게 나가는 집단을 대상으로 각 집단 분변에서 나타나는 미생물과 자돈 성장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몸무게 증가 비율이 높고 낮음에 따라 상대적 풍부도*가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25개 미생물을 발굴했다. * 특정 미생물이 주어진 환경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몸무게 증가율이 높은 집단에서 발굴한 미생물 가운데 상대적 풍부도가 높았던 마빈브리안티아(Marvinbryantia), 무리바쿨라세아(Muribaculaceae), 코프로코쿠스(Coprococcus)는 돼지가 식물의 다당류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게끔 크기가 작은 지방산으로 분해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발굴한 미생물을 활용해 체중 증가율이 높은 자돈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돼지의 초기 성장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양돈 영양학의 시작과 끝은 사료 섭취량이다.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회사는 최적의 영양 설계와 제조공정을 거쳐 고객농장에 사료를 공급한다. 심지어는 영양 설계 과정에서 돼지의 사료 허실을 감안한 사료 섭취량을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하절기가 되면 이러한 노력이 무의미할 정도로 사료 섭취량이 떨어진다. 폭염으로 인한 사료 섭취량 감소는 인력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1. 위궤양에 따른 폐사 환경온도가 상승하면서 나타나는 임상증상 중 하나가 위궤양으로 비롯된 폐사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더위가 시작되면 매년 반복되는 현상이다. 궤양 부위의 출혈로 인해 위장에 혈액 또는 혈액이 뒤섞인 소화 혼합물이 관찰되고, 때에 따라서는 혈괴(clotted blood)도 확인할 수 있다(사진 1). 영양적인 요인도 일부 있겠지만 여름부터 시작하여 9월까지 특정한 계절에 집중된다면 영양적인 요인은 그리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판단하는 위궤양에 따른 폐사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고온 스트레스는 돼지를 극한의 스트레스 상황으로 몰아넣게 된다. 사료 섭취량이 급감하면서 위장 내 pH는 낮은 상태로 오랜 시간 지속되고 이로 인해 급성으로 각질화 과정을 거쳐 위궤양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