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하며 겨우내 추위로 움츠려 있던 만물이 꽃이 피기 시작하는 봄이 되면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하게 된다. 계절에 상관없이 가축을 키우지만, 계절에 맞는 사육환경과 적절한 관리방법을 준수할 때 농가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축사에서 나오는 냄새는 가축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민원이라는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농장에서는 항상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최소환기를 했던 겨울에서 점차 환기량이 늘어나는 봄,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냄새의 발생 증가와 함께 민원발생도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봄철시기에 축사시설과 분뇨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본격적으로 환기량이 증가하고 냄새 발생이 늘어나는 시기를 대비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농가에서 봄철에 축사의 냄새를 줄이기 위한 돈사의 시설환경 및 분뇨관리 관점에서 점검 포인트를 설명하고자 한다. 2. 돈사 내부관리 국내 양돈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닥은 대부분 콘크리트 슬랏 또는 반슬랏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분뇨관리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분변 자리 관리가 어렵고 냄새 발생이 많은 단점이 있다. 특히 반슬랏 돈사는 분변 제거와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축산정보뉴스 안영태 기자 | 1. 시작하며 얼마 전 중앙일간지에서 기획 시리즈로 ‘출구 없는 사회적 공해 악취’라는 주제로 연재 기사를 보도한 적이 있다. 악취로 인한 사회적 갈등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해법은 여전히 요원한 현실을 직시하고 해결을 위한 대안을 고민해 보고자 하는 내용이었다. 사회적 악취문제 중 여전히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축산악취는 축산농가의 가장 큰 고민이자 농가경영에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인이다. 다행히 겨울은 여름철에 비해 돈사 내부의 온도 유지를 위해 최소환기를 하기 때문에 돈사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물질의 양은 감소하기 때문에 악취민원에서 다소 자유로울 수 있다. 하지만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축사 내부에 축적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것이 돼지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악취 관련 유해가스의 관리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농가에서 활용 가능한 겨울철 악취저감 장치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과 악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2. 악취저감 시설관리 양돈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악취저감 시설을 살펴보면, 안개분무 방법이 71.7%로 가장 많이 활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