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기량이 비교적 충분한 여름철과는 달리 환기량을 줄여가는 환절기와 겨울철에 살펴봐야 할 사항들이 있다. 특히 환절기와 겨울철에 복식호흡 등 호흡기 증상이 늘어나고, 신경증상(누워 자전거 타기)이 늘고, 돼지 눈이 지저분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미리 대비하여 문제없는 환절기와 겨울철을 지내도록 하는 바람에서 이 글을 쓴다. 각종 고가의 항생제를 사용하는데도 효과가 신통치 않다면 유념해서 살펴보길 권한다. ■ 환절기와 겨울철 환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일반적인 원인 ☞ 첫 번째, 가축분뇨 가스 문제, 돼지가 망가져서 애를 먹는 돈사에서 흔히 발견되는 에러이다. 돈사 내에 가스가 많이 차는 원인 중 하나는 가스 발생이 많은 경우이다. 분뇨 배출구가 막혀 똥볼을 들어도 분뇨 배출이 되지 않을 때, 배출되도록 수리해야 하는데 포기하고 수중모터를 집어넣어 빨아내기 시작한다. 이러면 빨아내는 자리만 슬러지가 제거되고 다른 자리에는 슬러지가 쌓인다. 쌓인 슬러리에서 유독가스가 더 많이 생성되는데 환기량을 줄여놓으니 돼지는 가스에 고생한다. 어떻게 피트 내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할 것인지 작업계획을 세워보자. 돈사 내에 가스가 많이 차는 원인 중 다른 하나는 피트로 입기
1. 시작하며 양돈장이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사업체가 되려면 이웃과 함께 어울려 잘살아가야 한다. 양돈장에서 발생하는 냄새에 불만이 나오지 않아야 이웃과 어울려 잘살아갈 수 있다. 양돈장은 현재도 냄새를 줄이고 없애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런 다양한 방법 중에는 사료 속에 미생물을 첨가하는 방법이나, 슬러리에 투입하는 방법 등이나, 사료 내 조단백질(CP)를 줄이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조단백질을 줄이거나, 미생물을 먹이거나, 슬러리에 투여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시설에 관련된 부분을 컨설턴트로서의 견해를 밝혀보고자 한다. 2. 양돈장에는 다양한 돈사나 건물이 있고, 이 중에는 냄새 발생이 심해서 냄새저감시설 설치를 우선하는 것이 좋겠다. 분만사와 자돈사는 냄새가 심한 건물이 아니고, 비육사가 냄새 발생이 비교적 심한 편이므로 냄새저감시설 설치가 우선된다. 집수조와 고액분리기를 포함한 퇴비장이나 폭기조 등 분뇨 처리시설은 가장 냄새가 심한 건물이니 냄새저감시설 설치의 최우선 순위이다. 돈사 바닥의 형태도 냄새 발생과 관련이 있다. 돈사 바닥이 냄새 발생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평바닥이 넓을수록 분뇨가 바닥에 펴 발라지고 돼지몸에
1. 들어가며 겨울철이 되면 외기 온도가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환기량이 줄어든다. 게다가 관리자가 최소환기량을 얼마나 설정해두었는가에 따라 돈사 내에 환기량은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번 글에서는 매년 겨울철이 되면 돼지 건강 상태가 망가지는 돈사의 경우에 특히 최소환기량 측면에서 점검할 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소환기량을 계산해보자. 최소·최대환기량에 대한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서는 미국 표준이라 할 수 있는 MWPS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겠다(표 1). (표 1)에서 살펴보면 최소환기량으로 나와 있는 정도는 영하 -20℃가 되더라도 돼지가 숨을 쉬기 위해서, 다시 말하면 생존을 위해서 필요한 두당 환기량이다. 최소환기량 이하로 배기휀을 운영하면 매년 겨울철에 돼지가 망가지는 돈사를 경험할 것이다. 2. 농장의 필요환기량 계산 예시와 점검 분만틀 20조가 들어있는 분만실을 예를 들어 최소환기량을 계산해보면 20조x34cmh=680cmh이다. 분만실에 300∅ 배기휀 1개를 1차휀으로 운영하고 있으면, 국산 1차휀이 100% 가동 시 1,000cmh 정도 가능하다고 할 때 68%(=70%) 이상 최소환기량을 설정하여 운영해야 한다. 물론 국산 컨트
농장 컨설팅 14년 차고, 돼지 수의사로는 25년 차인 현장 수의사이다. 동물약품 제조회사 3년, 사료회사 5년, 종돈장 3년을 거쳐 컨설팅 수의사로 14년째 일하는 중이다. 단지 질병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컨설턴트로 역할을 하려면 정말 많이 알고 경험해도 끝이 없다는 것을 느끼고, 모자란 컨설턴트의 한 명으로 느낀 점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두 가지 강하게 받는 느낌이 있다. ■ 국내 양돈장에서 작업량 많은 원인 한국의 농가들은 일을 많이, 그리고 오래 한다. 그런데도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생산성적이 중국에도 뒤처진 상황이다. 잘못되어도 크게 잘못되었다. 양돈선진국인 MSY 33두 이상을 기록하는 덴마크보다 일을 많이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이 성적도 떨어지는데, 일까지 많이 하면 억울하지 않은가? 덴마크보다 일을 많이 해서 덴마크 하위 25% 성적인 MSY 30<이 되었다 한들 무슨 의미가 있을까? 덴마크에서 하지 않고 있는 작업이 있다면 하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최근 좋은 인력을 충분한 숫자를 확보해서 양돈장을 운영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일은 아니라는 것이 이번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충분히 알게 되었다. ■ 국내 양돈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