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방역·위생 현장에서의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발생에 따른 농가 피해 최소화 방안(한돈미디어 24년 3월호) / 양승혁 수의사
1. 시작하며 올겨울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 기승이다. 이에 더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나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까지 같이 유행하고 있어서 농장에서는 올여름 돼지 출하를 걱정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농장에서는 PED 유입도 예방해야겠지만, 이미 감염된 농장에서는 재발하지 않도록 또한 자돈사나 분만사에서 순환 감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런 설사병이 끊이지 않고 일어나기 때문에 포유자돈 생존율과 성장, 자돈 생존율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고에서는 돼지유행성설사병이 이미 감염된 농장에서 순환 감염과 재감염을 예방하는 방안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2. PED바이러스가 농장에 계속 남아 있는 이유? PED바이러스의 생존성은 생각보다 길다. 흔히 알려진 바에 의하면 낮은 온도에서 오래 생존하는 편이다. 신선한 똥에서는 7일 또는 그 이상을 이야기하고 슬러리에서는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4~28일 정도 생존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PED가 발병한 농장에서는 전체 농장에 대한 면역 동기화 진행 후 바이러스 배설 기간을 3주 정도로 보고 바이러스 사멸 기간 1개월, 확인 기간 3~4주가 소요되어 3개월 정도면 청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