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방역·위생 유행성 폐렴 안정화 사례 / 김성일 원장
유행성 폐렴은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ycoplasma hyopneumoniae)라는 병원체에 의해 발현되며 써코(PCV-2), PRRS와 더불어 PRDC(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의 주 원인체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일반 양돈장에서는 백신 접종 비율이 높아서 관심은 높지 않지만, 국내 유수의 종돈업체들은 유행성 폐렴 음성 후보돈의 분양을 오래전부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유행성 폐렴 양성농장에서 유행성 폐렴 음성 종돈이 도입될 때 나타나는 상황과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기술하고자 한다. 1. 농장정보 모돈 550두 규모의 GP농장으로 PRRS 음성, 유행성 폐렴 양성이다. GP농장의 특성상 매월 20여두 정도의 순종을 도입하는데 순종의 경우 PRRS 음성, 유행성 폐렴이 음성이다. 후보사의 면적이 부족하여 후보사에서 사육기간은 한 달간 머물며 한 달 뒤 교배 스톨로 후보돈을 이동시킨다. 2. 유행성 폐렴의 특성 유행성 폐렴은 감염될 때 약 240일 이상 균을 배출하게 된다. 보통 후보돈의 도입 일령은 140~150일령이며 초교배 시점은 240~260일임을 감안할 때 도입 후 바로 감염된다고 하더라도 첫 분만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