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방역·위생 북미형 PRRS바이러스 유입 농가의 PRRS 안정화 사례 / 정윤수 원장
1. 들어가는 말 PRRS(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감염 상태에 따라 농장을 분류해 보면 청정화 농장, 안정화 농장, 불안정 농장으로 구분되는데 청정화 농장은 PRRS바이러스가 농장에 없는 것이고, 안정화나 불안정 농장은 PRRS바이러스가 농장에 있는데 번식돈군이 안정이냐 불안정이냐의 차이이다. 다시 말하면 PRRS 안정화를 유지하는 것은 국내 양돈장의 90% 이상이 농장마다 다른 형태의 PRRS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매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농장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반드시 안정화를 이루고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표 1) PRRS바이러스 감염 상태에 따라 농장 분류 2. PRRS바이러스 감염 상태에 따른 농장 상황 PRRS 안정화란 PRRS바이러스가 유입되어 불안정해진 농장이 해당 바이러스에 농장 번식돈군 전체가 감염 후 면역을 형성하고 이후 몸 안에 바이러스가 사라지면서 PRRS 항원 음성인 자돈을 분만하는 것이다. 하지만 수직감염 없이 분만사에서 PRRS 음성으로 태어난 자돈은 보통 이유 이후 자돈이나 육성구간에서 유입되었던 PRRS바이러스에 재감염되고 영향을 받게 된다. 기존의 번식돈들도 재노출은 되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