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돈 생산성 데이터를 보면 2020년 대비 2023년 총산자수는 12두로 0.5두 향상되었다. 하지만 PSY는 24두로 0.6두 향상되어 총산자수 대비 성장 추세가 더딘 흐름을 보인다. 글로벌 생산성과 비교해 볼 때 국내에서는 우선 PSY 개선이 필요한 상황으로, 현장에서는 양돈 생산성 목표를 ‘PSY 30두’로 정하고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그 어느 때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선점을 찾고 자원을 집중하여 개선 속도를 높이는 사례도 많아졌다. 본고는 대한민국 평균 성적을 가진 농장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성적이 개선된, 그리고 성적 개선이 진행 중인 사례를 공유하여 국내 양돈업의 생산성 향상에 힘을 보태고자 한다. 1. A농장의 현황 파악 모돈 1,000두 규모의 일관농장인 A농장은 최근(2022~2023년) 2년간 PSY가 21두 수준으로 국내 평균 성적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A농장에는 PSY 25두 달성을 1차 목표로 하는 생산성 개선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PSY 25두 달성에 필요한 핵심적인 지표를 통해 농장의 생산성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해 보았다. 전년 생산성 데이터를 살펴보면, 모돈 회전율은 2.23을 기록해 목표 성적을 초과
1. 양돈장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농장자료의 디지털 전환 국내 대부분의 양돈장은 농장 운영을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디지털 도구를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많은 양돈장 사무실에 들어가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여러 개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이트보드로 덮인 벽일 것이다. 양돈장의 관리 대상 개체들의 건강과 생산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정리하는 시각적 도구로 수십 년 동안 화이트보드를 사용해 왔다. 화이트보드는 사료 공급 일정, 투약 프로토콜, 건강 상태의 점검 등 일상적인 관리 작업을 추적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장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교배 그룹, 분만율, 이유 정보 등과 같은 모돈의 번식성적과 관련 있는 다양한 매개 변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화이트보드는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하지만, 사용 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잠재적인 단점과 한계도 있다. 화이트보드는 보드의 표면적에 따라 제한된 양의 정보를 담을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데이터가 불충분하게 표시되거나 작은 공간에 너무 많은 정보를 집어넣으려고 하면 읽기도 이해하기도 어렵다. 화이트보드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데이터에 접근해야 하는 관리자,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