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방역·위생 포유자돈의 배꼽염증 개선 사례(한돈미디어 23년 9월호) / 이희원 수의사
1. 배꼽탈장이란? 배꼽탈장은(제대 허니아, Umbilical hernia) 돼지에서 흔히 발생하는 결함이다. 출생 후 탯줄이 마르고 제대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꼽 주위의 지지근육 발달이 저하되면, 복강의 압력을 견디지 못해 제륜(umbilical ring)을 통해 장기가 빠져나오는 질환이다. 배꼽탈장이 발생하면 출하 시 돼지의 경제적 가치가 하락하고, 성장 속도는 지연되며 폐사율은 상승하는 등 농가에 피해를 준다. 해외 자료에 따르면 배꼽탈장의 발생비율은 0.4~6.7% 사이로 나타난다고 하는데, 제주도 돼지농가의 배꼽탈장 발생률을 조사한 논문에 따르면 23개 농장, 41,400두의 돼지에서 평균 0.6%의 발생 빈도를 나타냈다고 한다. 2. 배꼽탈장과 배꼽염증의 관계 배꼽탈장을 일으키는 원인은 유전적인 원인도 있지만 환경적인 요인이 더 크다. 다시 말하면 관리를 통하여 발생률을 줄일 수가 있다. 대표적인 두 가지는 생시 배꼽이 당겨지는 문제와 배꼽의 염증이다. 2010년 수행한 실험에 따르면 생후 2일령 자돈의 배꼽에서 세균 배양을 하였을 때 28%의 자돈에서 14종의 세균들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많이 분리되었던 세균은 대장균(비용혈성) 13